'동양평화 만세만만세' 안중근 의사 미공개 유묵을 만난다

하채림 2023. 3. 20. 17: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東洋平和) 사상과 염원을 또렷이 보여주는 미공개 유묵이 제113주년 추모식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다.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는 26일 효창공원에서 열리는 안중근 의사 순국 113주년 추모식에서 안 의사의 새 유묵 1점의 영인본과 사진을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 제113주기 추모식서 유묵 영인본·사진 공개
안중근 의사 생전 사진 [독립기념관 제공]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東洋平和) 사상과 염원을 또렷이 보여주는 미공개 유묵이 제113주년 추모식을 통해 모습을 드러낸다.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는 26일 효창공원에서 열리는 안중근 의사 순국 113주년 추모식에서 안 의사의 새 유묵 1점의 영인본과 사진을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유묵은 가로와 세로 각각 135㎝와 35㎝ 크기 비단 천에 '東洋平和萬歲萬萬歲 庚戌 二月十八日 旅順監獄在監中 大韓國人 安重根書(동양평화만세만만세 경술 2월18일 여순감옥재감중 대한국인 안중근서)' 글귀가 먹으로 쓰여 있고 유명한 안 의사의 손바닥 도장이 선명하게 들어 있다. '동양평화 만세만만세 1910년 2월 18일 여순감옥 수감 중에 대한국인 안중근 쓰다'라는 의미다.

서체는 해서(楷書)를 기본으로 일부 초서체가 섞였다.

안 의사는 1910년 2월 14일 1심 법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나흘 뒤 이 글귀를 쓴 것으로 추정된다. 안 의사는 사형선고 사흘 뒤 히라이시 우지히토 법원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동양평화론'을 저술할 시간이 필요하니 사형 집행을 한 달 연기해달라고 요청했고, 히라이시는 기꺼이 이를 수락했다. 안 의사는 히라이시와 면담 다음 날 이 유묵을 쓴 것으로 보인다.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안 의사 사상의 요체인 동양평화 사상이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주며 날짜까지 표기돼 의미와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보물로 지정된 안중근 의사 유묵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화재청 제공]

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이 유묵은 국내 소장자가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소장자의 아버지는 일제강점기 도쿄 유학 중 이 유묵을 입수했다고 한다. 소장자가 최근 기념사업회에 연락하면서 유묵의 존재가 알려졌다.

기념사업회는 서예 전문 문화재위원의 감정을 거쳐 안 의사 유묵으로 확인했다. tr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