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학교생태전환교육리포트] 초 3학년 생태환경 체험학습… 우포늪에서 배우는 생태전환교육
2. 생태체험의 장 우포늪과 경남교육청
"선생님, 여기 소금쟁이 있어요! 신기한 잠자리도 있어요!"
5월 30일 오전 경남교육청 과학교육원 우포생태교육원 마당에 자리한 작은 연못에서 경남의 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생물체를 관찰하고 있었다. 가슴까지 올라오는 장화를 신고 손에는 뜰채를 쥔 채 인공습지에 서식하는 동물과 식물을 채집했다. 발밑으로 느껴지는 물컹거리는 촉감을 신기해하며 어떤 동식물이 있는지 신경을 집중했다.
경남에선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누구나 이렇게 환경체험학습을 한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생태환경 체험학습을 통해 습지와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함이다. 연간 5500명가량의 학생은 이곳 창녕에 위치한 우포생태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다. 나머지 2만 3000명가량의 학생들은 11개 환경체험학습 협력기관이 수용하고 있다.
우포생태교육원은 식물다양성의 보고인 우포늪과 인접해 있다. 우포생태교육원을 찾은 학생들은 오전엔 교육원 마당에서 탐구활동을 한 뒤 오후부턴 우포늪을 탐사한다. 우포늪 생명길을 따라 걸으며 습지생태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동식물을 마주한다. 계절에 따라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 따오기를 관찰하고 여러 철새도 탐조할 수 있다.
우포늪을 활용한 경남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은 학생들이 자연을 직접 느끼고 체험하며 생태계의 소중함을 인식하는 기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환경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는 다양한 경험도 제공한다.
우포늪(우포습지)은 2011년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으로 지정된 국내 최대 내륙 습지다. 축구장 350개 규모 크기에 600종 이상의 생물이 서식하는 이곳은 1998년 람사르습지로 지정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경남교육청은 이 같은 우포늪을 학생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포늪을 교육에 처음 활용한 건 민간이다. 1997년 유어초 회룡분교가 폐교된 이후 1999년 시민단체가 이곳에 우포생태학습원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7년 창녕교육지원청이 우포생태교육원을 설치하기로 결정해 2008년 10월 개원하기까지 우포늪이 가진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 교육하다 교육청에 그 역할을 맡겼다. 현재는 경남교육청 소속으로 경남 전체의 생태전환교육의 큰 축으로 기능하고 있다.
우포생태교육원은 교육연구관과 교육연구사 1명씩을 비롯해 총 13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우포체험학습 등 다양한 사업을 실시한다. 대표 프로그램 중 하나인 '우포에서 놀자'는 주말과 방학을 이용해 가족 단위로 생태환경 체험학습을 할 수 있다. 초.중.고등학교 학생이 참여하는 생물다양성 동아리와 제비 생태탐구 프로젝트도 운영 중이다. 교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초.중등 교사 대상 환경교육 생물다양성 직무연수, 환경교육 직무연수 심화과정을 각각 운영하며 퇴직을 앞둔 교사를 생태환경교육 강사로 양성하는 100시간 연수도 운영한다. 람사르 습지도시 환경교육 국제교류를 비롯해 습지학교 네트워크, 교원연수 국제교류도 수행한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 기저엔 자연과 생물의 공존이라는 가치가 깔려 있다. 우포늪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 종(種)을 지키는 것이 곧 인류를 위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우포늪에서 복원 중인 멸종위기종 따오기는 오염된 환경에선 서식하지 못한다. 따오기를 우포늪에 살게 하기 위한 노력도 같은 맥락이다.
이 같은 노력은 어느 한 기관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 경남교육청이 지역 시민단체, 타 시도교육청 나아가 아시아까지 협력의 대상을 넓히는 이유다. 제14차 람사르총회 습지교육 결의에 따라 제주교육청, 인천교육청, 전남교육청이 참여하고 있으며 나아가 아시아 습지학교 네트워크 창립을 위한 준비 중이다.
박광열 우포생태교육원 교육연구사는 "생태전환교육이 나온 이유는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것"이라며 "경남교육도 공존과 전환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갖고 교육과정과 연계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사는 또 "개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여 어떤 문화가 형성되는데 가장 중요한 건 어린 시절 교육"이라며 "초등학교 기초교육을 받을 때부터 환경에 대한 중요성, 습지의 역할과 생태계, 자연과 인간의 공조와 협업에 대한 것들을 배우고 배우지 않고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연구사는 그러면서 "2050년 지구의 온도가 1.5도만 올라가도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데, 지금 이 위기는 지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동참해야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창녕=임효인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