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생가' 하의도 연결하는 '윤석열 대교' 생기나

박경우 2022. 10. 3. 1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전남 신안군 하의도에 '윤석열 대교'(가칭) 건설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우량 신안군수는 3일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신안의 섬 중에서 교통이 가장 열악한 장산도와 신의ㆍ하의도를 잇는 다리를 전액 국비로 건설해 준다면 '윤석열 대교'라는 이름을 붙여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안군, 장산도와 신의·하의도 잇는 다리 건설 추진
박우량 신안군수 "전액 국비 지원해주면 가능"
2,800억 예산 소요..신안군은 예타면제 추진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이던 2월 전남 신안군 하의도에 있는 고(故)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방문해 조문을 마친 뒤 생가를 둘러보고 있다. 신안=오대근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전남 신안군 하의도에 ‘윤석열 대교’(가칭) 건설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세(勢)가 강한 신안이지만, 섬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한 예산 확보 차원에서 여야 간 장벽에 구애 받지 않겠다는 군의 의지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우량 신안군수는 3일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신안의 섬 중에서 교통이 가장 열악한 장산도와 신의ㆍ하의도를 잇는 다리를 전액 국비로 건설해 준다면 ‘윤석열 대교’라는 이름을 붙여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 군수는 최근 김대중 정부 당시 고위직을 지낸 여권 인사와의 면담에서 이같은 얘기를 나눴다. 특히 김 전 대통령 탄생 100년을 맞는 2024년을 앞두고 동서화합의 상징적 필요성이 있는 사업을 논의하던 중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안군은 장산도와 신의ㆍ하의도를 잇는 2.2km 정도의 연륙연도교 사업을 추진 중이다. 2,800억 원 정도의 예산 투입이 필요한 사업으로 군은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면제를 추진 중이다. 정부가 최근 사회간접자본 예타 상한선을 500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늘리는 대신,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군은 문재인 정부 때도 수차례 예산 반영을 요구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군은 주민들의 숙원 사업을 성사시키는 데 여야가 따로 없다는 판단이다. 특히 예타 기준까지 엄격해진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 의지는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윤 대통령도 지난 2월 대선 후보 당시 하의도 김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해 "김대중 정신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기반한 국민통합 정신"이라며 "우리가 이 위대한 정신을 잘 계승해야 하겠다"고 밝혔다.

신안군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 전남 7대 공약과 15대 정책과제에도 장산도와 신의ㆍ하의도를 잇는 연륙연도교 건립이 반영돼 있다”며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신안= 박경우 기자 gwpar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