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해양수산연, 어린 바지락·가무락·갯지렁이 355만마리 방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승표 기자(sp4356@hanmail.net)]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자체 기술로 생산한 어린 바지락, 가무락조개, 갯지렁이 355만 마리를 도내 연안 갯벌 8곳에 방류한다고 17일 밝혔다.
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18일 어린 바지락 50만 마리를 시흥시 오이도 갯벌에 방류하는 것을 시작으로 오는 27일까지 안산 선감지선, 종현리, 중부흥 갯벌, 화성 제부리, 백미리 갯벌, 평택 권관리 갯벌에 3개 품종을 차례로 방류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승표 기자(sp4356@hanmail.net)]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자체 기술로 생산한 어린 바지락, 가무락조개, 갯지렁이 355만 마리를 도내 연안 갯벌 8곳에 방류한다고 17일 밝혔다.
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18일 어린 바지락 50만 마리를 시흥시 오이도 갯벌에 방류하는 것을 시작으로 오는 27일까지 안산 선감지선, 종현리, 중부흥 갯벌, 화성 제부리, 백미리 갯벌, 평택 권관리 갯벌에 3개 품종을 차례로 방류한다.
품종별 방류 수량은 바지락 300만 마리, 가무락조개 50만 마리, 갯지렁이 5만 마리 등이다. 이들 3개 품종은 도 연구소가 지난 5월부터 인위적으로 산란을 유도, 실내 사육 수조에서 관리하고 질병 검사까지 마친 우량종자들이다.
바지락과 가무락조개는 맛이 좋아 선호도가 높은 유용 패류로 최근 생산량이 줄어 도 연구소가 2019년부터 생산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특히 가무락조개는 조개류 중에서도 초기 폐사율이 높아 종자 생산이 매우 어려운 품종으로 도 연구소에서 국내 최초로 생산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갯지렁이는 고급 낚시 미끼로 알려져 있으며, 갯벌 정화 능력까지 가지고 있어 이번 생산기술 확보·방류가 어민 신규 소득자원 확보와 갯벌 생태계 복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소는 기대하고 있다.
이상우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경기도 바다 환경에 적합한 수산생물 발굴과 수산자원 연구를 활발히 진행해 풍요로운 경기바다 만들기와 어민 소득증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해부터 '풍요로운 경기바다 만들기'를 위한 다양한 수산생물 시험 연구사업과 수산종자 자원조성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6~7월에는 어린 주꾸미 15만 마리와 갑오징어 1만 마리를 경기바다에 방류한 바 있으며 이번 방류 수량까지 합치면 올해 총 371만 마리의 유용수산 종자를 방류하게 된다.
[전승표 기자(sp4356@hanmail.net)]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돈을 숭배하는 시대'에 <모모>의 작가 엔데가 묻는다
- 김대중의 말 "우리는 고도의 외교 민족이 돼야 합니다"...지금 우리는?
- 홍준표 "정치 4개월 하고 대통령?" vs 윤석열 "26년 정치하고 왜 그러나?"
- '쿠팡은 이길 수 없다'는 아들의 죽음..."같은 죽음 반복되면 안 돼요"
- '플라스틱 방앗간'과 '치약짜개'로 변신한 병뚜껑들
- "미국과 중국 사이, 기후변화 고리로 한국이 매개자 역할 해야"
- '왜 돌아왔냐'는 질문에 '일정이 있잖아'라는 늙은 노동자의 이야기
- "부산시장이 2명이라던데, 광회대군 모르나?"...박형준에 날 세운 김도읍
- 가짜 '유기견 대부', 위험한 심정지약 어디서 구했나
- '이낙연 승복' 얻었어도 대장동은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