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진단M] 유명무실 NDMS…'4억' 들인 시스템 놔두고 중복개발까지

2022. 12. 12. 19: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재난안전기술은 재난상황이 벌어지면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수단이 됩니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재난안전산업 진흥법까지 만들어서 관련 산업을 육성하려는 걸텐데요. 이태원 참사 당시 '늑장 전파'로 문제를 드러낸 국가정보관리시스템, NDMS를 통해 정부의 안전시스템 구축에 돌아볼 문제는 없는지 짚어봤습니다. 김민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재난을 감시하고 대응하는 상황실입니다.

이곳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비상시 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 NDMS를 사용해 관련 기관에 상황을 공유합니다.

관리비용만 연간 30억 원으로, 행정안전부는 전파시간을 35분에서 1분 이내로 줄였다고 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태원 참사 당시 행안부가 대통령 지시사항을 유관기관에 전파하는데 걸린 시간은 39분이었습니다.

▶ 스탠딩 : 김민수 / 기자 - "NDMS에는 재난상황 전파 기능 말고도 '위기대응 매뉴얼 검색' 기능도 있지만 현장에서는 불편해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1만 개가 넘는 매뉴얼 가운데 자신의 역할을 검색해서 찾아야하는데다 한글이나 PDF 파일을 다운받아 보는 방식이라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행안부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4월부터 15억 원을 들여 개선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사업 제안서를 보면 이 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조직별 임무와 역할을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런데 행안부 연구관리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는 비슷한 내용의 기술소개서가 하나 올라와 있습니다.

재난현장관리시스템 EMS입니다.

기술소개서를 보니 표준화된 매뉴얼을 100% 전산지원하고, 담당자별 역할 수행 정보를 제공한다고 나와있습니다.

행안부는 지난 2018년 재난안전육성지원사업을 통해 이 기술에 4억 원을 지원했고, 시제품까지 만들어놓고도 이번 개선 사업에는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행안부 관계자 - "한번 R&D로 투자를 받아서 기술 개발을 하고 유사한 사업이 나왔을 때 과연 그 업체만이 할 수 있는 것이냐…."

위기관리매뉴얼 개선 사업이 완료되는 시점은 이르면 오는 2024년으로, NDMS의 위기대응 매뉴얼 검색 기능은 당분간 개점휴업 상태로 남을 것으로 보입니다.

행안부가 내년에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업에 투자하는 예산은 지난해보다 700억 원 가까이 늘어난 2,547억 원입니다.

늘어나는 재난안전 연구개발비용 만큼 연구성과가 국민안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법 역시 고민해야 합니다.

MBN뉴스 김민수입니다. [ smiledream@mbn.co.kr ]

영상취재 : 변성중·박준영 기자 영상편집 : 박찬규 그 래 픽 : 박경희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