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산후조리원 없는 전북자치도…산후조리 문제 ‘심각’
최근 공공산후조리원이 없는 전북특별자치도 내 산후조리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자치도 내 운영 중인 전체 산후조리원 11곳은 모두 민간으로, 내년 6월 완공 예정인 남원시 내 공공산후조리원을 제외하곤 현 시점에서 공공산후조리시설은 전무하다. 하지만, 해당 민간 산후조리원들은 이용비가 적게는 100만원대부터 많게는 700만원 상당으로 책정돼 있는 등 천차만별인 데다, 수요에 비해 적은 개소 수로 예약까지 7~8개월 가량 소요되기도 하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전북자치도의 산후조리 관련 사업엔 막상 산후조리원이 지원 대상에 포함돼 있지 않아, 임신과 출산을 적극 장려해야할 전북자치도의 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전북자치도 내 산후조리원은 전주 9곳, 군산 2곳으로 총 11곳의 민간 산후조리원이 영업하고 있다. 산후조리원 11곳의 일반실의 2주간 이용비를 살펴보면 최소 100만원, 최대 741만원, 평균 304만원으로 집계됐다. 또 특실이 운영되는 10곳의 산후조리원 내 특실 2주 이용비는 최소 120만원, 최대 975만원, 평균 385만원이었다.
지난 4일 본보가 확인한 전북자치도의 산후건강관리 사업은 산모의 건강 회복을 위해 20만원 상당의 쿠폰을 보건소에서 발급하는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단, 사용처는 산부인과와 한의원 등에 국한된 것으로 파악됐다.
풀이하면 사업명부터 산후 건강을 지원해야 하는 데도, 실제 산후조리원에선 지원금을 활용할 수 없는 상태였다. 다시 말해, 전북자치도 내 민간뿐인 산후조리원을 방문해야 하는 산모들이 평균 300만원대의 이용비를 오롯이 지불할 수밖에 없는 셈이었다.
이날 대화를 나눈 전북자치도 내 한 산후조리사 A씨는 “근래 조리원을 이용하기 위해선 7~8개월 전부터 예약해야 한다”며 “임산부들 사이에서 이미지가 좋거나 산부인과와 붙어 있는 조리원은 전부 예약이 꽉 찼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이어 3개월 전 전북자치도 내 한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던 B씨는 “출산하고서 바로 일상으로 돌아가기 쉽지 않은 몸 상태라 조리원에 다닌 게 큰 도움이 됐다”며 “조리원 예약이 하늘에 별따기여서 임신 기간 중에도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공공산후조리원 없는 지역 상황에서 출산을 응원하기 위해선 가장 기본적인 산후조리 과정부터 지원이 많아야할 것 같다”고 호소했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이에 “산후조리원 이용 금액이 업소마다 다르고 비싼 경우도 있어 산모들의 부담에 공감한다”며 “산후건강관리 사업의 지원 대상을 내년부턴 산후조리원도 포함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 개정 마치고 예산 편성을 기다리는 중이다. 또 남원 공공산후조리원도 최대한 준공 예정에 맞춰 빠르게 문을 열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규희 기자
#전북 #공공산후조리원 #산후조리원 #임신 #출산 #육아 #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