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치명률 석달 만에 2배 ‘육박’…10월 0.07%

김현주 2022. 11. 22.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월간 치명률이 지난 7월 0.04%로 저점을 찍고 최근 다시 0.07%까지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코로나19는 독감과 유사한 질환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지만 전문가는 "확진자, 사망자 수 자체가 많아 비교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이날 0시 기준 사망자는 35명 늘어나 누적 3만66명으로 집계됐으며, 누적 코로나19 치명률은 77일째 0.11%를 이어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망자 누적 3만명 넘어…정기석 특별대응단장 "인플루엔자와 비교 안돼"
정기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이 지난 21일 정부 서울 청사 브리핑실에서 고위험군 예방접종 및 치료제 복용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월간 치명률이 지난 7월 0.04%로 저점을 찍고 최근 다시 0.07%까지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에 따르면 0.03~0.1% 수준인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 치명률과 이제 유사해졌다는 주장도 있지만 전문가는 "비교할 수 없다"며 "확진자 수 자체가 많아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내놓은 월별 코로나19 치명률 현황을 보면 지난달 치명률은 0.07%이다. 지난 7월 0.04%로 유행 3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고 다시 상승하는 모양새다.

초기 우한 바이러스가 유행하던 1기(2020년 1월~8월)에는 월별 치명률이 최고 2.87%(2020년 3월)까지 솟구쳤다.

그해 8월부터 11월까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되던 2기 유행때는 1.38~1.76% 정도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그러다 겨울철로 인한 3기 유행(2020년 11월~2021년 7월) 때는 12월 들어 2.75%까지 올랐다가 시간이 지나며 0.31%까지 내려왔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덕분이다.

델타 변이가 창궐한 4기 유행(2021년 7월~2022년 1월) 때 다시 올라 11월 1.56%를 기록했고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던 올해 2월부터 치명률이 뚝 떨어졌다.

지난 4월 처음으로 0.1% 이하인 0.09%를 기록한 뒤 5월 0.08%, 6월 0.07%, 7월 0.04%, 8월 0.06%, 9월과 10월 각각 0.07%로 7개월째 0.1%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이제 코로나19는 독감과 유사한 질환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지만 전문가는 "확진자, 사망자 수 자체가 많아 비교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는 전날 0시 기준 3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020년 2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사망자가 발생한 지 2년 9개월 만이다.

이날 0시 기준 사망자는 35명 늘어나 누적 3만66명으로 집계됐으며, 누적 코로나19 치명률은 77일째 0.11%를 이어갔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평균 코로나19 사망자가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의 100배를 넘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정 단장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는 주춤하지만 위중증 환자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안 받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검사를 강제할 수는 없어 위중증이나 사망자 증가를 보고 역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위중증 환자에 대한 좀 더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정 단장은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중증화 및 사망 뿐만 아니라 감염으로 인한 후유증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고위험군의 접종 참여를 거듭 당부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