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짝찾기” 선남선녀 맞선 보세요

최상일 2023. 3. 17. 00: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각양각색 중매정책 ‘눈길’
하동군, AI 활용한 매칭 플랫폼 운영
진주시, 13년째 미혼남녀 인연만들기
부산 사하구는 데이트비용 지원 계획
김제시는 ‘지평선 오작교’ 만남 주선도
일본선 이미 결혼 지원사업 시도 성과
경남 진주시가 지난해 산청군과 협력해 진행한 ‘진주-산청 인연 만들기’ 행사 모습. 사진제공=진주시
‘AI 맞썸다(多)방’ 플랫폼(오른쪽)과 일본 후쿠이현의 결혼 응원 포털.

‘인공지능(AI) 활용 맞선’ ‘구청 주최 선남선녀 만남 이벤트’ ‘데이트 비용 지원’.

출산율 ‘0.78’이라는 통계가 충격을 던져준 가운데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각양각색의 중매정책을 내놓아 눈길을 끈다.

통계청 ‘2022년 출생·사망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0년째 꼴찌를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소멸의 공포에 맞닥뜨린 각 지자체가 지역 미혼 남녀의 연애를 물심양면 지원하겠다며 두 팔 걷고 나섰다. 출산율을 높이려면 먼저 연애·결혼·출산으로 이어지는 과정 중 첫번째 단계부터 밟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나아가 지역에서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면 중장기적으로 정착 인구와 출산율이 늘 것이라는 기대도 깔려 있다.

경남 하동군은 AI를 활용해 맞선을 주선한다. 군이 지난해 개발한 AI 활용 미혼 남녀 연계 플랫폼 ‘AI 맞썸다(多)방’은 개인의 성향을 분석해주고 온라인에서 비대면 만남을 도와준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한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주 대상으로 삼았다. 회원가입 후 취미나 가치관을 묻는 160개 문항에 답하면 AI가 자신의 성향에 맞는 상대방을 추천하는 식이다. 하동만 아니라 인근 지역인 진주·사천·남해, 전남 여수·순천·광양·보성·고흥 등에 사는 미혼 남녀라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현재까지 310여명이 회원으로 가입했다.

진주시는 2011년부터 13년째 ‘미혼 남녀 인연 만들기’ 행사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모두 10쌍이 결혼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난해에는 산청군과 협력해 ‘진주-산청 인연 만들기’ 행사를 기획하는 등 미혼 청년 결혼에 앞장섰다. 2019년부터는 이 행사에 참여해 결혼한 가정에 축하금 100만원도 준다.

하미애 진주시 여성가족과 인구정책팀장은 “매년 두차례 여는 행사에 남녀 20명씩을 초대하는데 경쟁률이 높게는 5 대 1에 이를 정도로 인기가 좋다”며 “앞으로도 청년 맞춤형 인구정책을 펼쳐 결혼 장려 분위기 조성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 사하구도 내년부터 ‘선남선녀 만남데이’ 행사를 열고 짝이 된 남녀에게 데이트 비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구청은 다른 지자체 사례를 검토한 뒤 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친다는 방침이다. 부산은 합계출산율이 0.72로 서울(0.59)에 이어 두번째로 출산율이 낮은 광역지자체다. 특히 사하구는 부산 안에서도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곳으로 꼽힌다.

이밖에도 대구 달서구는 ‘솔로탈출 결혼원정대’와 ‘썸남썸녀 매칭행사’, 전북 김제시는 ‘지평선 오작교 프로젝트 프랜썸-DAY’ 등 다양한 미혼 남녀 만남 주선 행사를 연다.

지자체가 직접 미혼 남녀의 중매에 나서는 것은 한국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과 인구감소 문제를 겪고 대응해온 일본에서는 이미 20여년 전부터 결혼 중매 지원사업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후쿠이현은 약 30년 전부터 지자체가 직접 나서 결혼상담소를 운영하며 중매인 보조금 지급, 맞선 행사 등으로 미혼 남녀의 짝 찾기에 힘을 쏟다가 2010년부터는 아예 ‘인연 맺어주기’ 정책을 도입해 결혼율 증가와 같은 성과를 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미혼 남녀 중매정책이 출산으로 가는 첫 단계를 도와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설명한다. 다만 결혼 후에도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가 많은 데다 출산은 결혼과는 또 다른 선택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심인선 경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적 이유와 일자리·주거·육아 등 현실적인 문제로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많다”며 “일자리와 주거, 일·가정 양립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청년에게 피부에 와닿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