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그림자, 겨울철 고혈압

동장군이 맹위를 떨치는 겨울에는 다른 계절보다 혈압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찬 바람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혈압’이기 때문이다.

추위에 노출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지키기 위한 방어 태세를 갖춘다. 찬 바람이 불 때 손끝과 발끝이 시리고, 소름이 돋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는 몸이 열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혈관과 근육, 모공을 수축시킨 결과다. 몸이 기온 변화에 이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덕에 우리는 추운 날에도 정상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 기능이지만, 때로는 오히려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shutterstock

겨울철 혈관 건강 ‘적신호’
체온이 0.5℃만 떨어져도 우리 몸은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하고, 혈관을 수축시킨다. 열 손실을 억제하고 열을 발생시켜 적정 체온인 36.5℃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때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류의 저항력이 높아져 혈압도 함께 상승한다. 실제 혈압은 기온이 낮아질수록 높아지고, 기온이 높아지면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 때문에 여름과 겨울의 최고혈압을 비교해 보면 3~5mmHg 정도 차이가 난다.

혈압이 상승하면 우리 몸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시흥 센트럴병원 내과 구지훈 원장에 따르면, 높은 압력의 혈액은 혈관 자체의 내피세포에 상처를 입힌다. 피부에 심한 상처가 나면 아물면서 섬유질이 생겨 아문 상처 부위가 단단해지는데, 혈관도 아무는 과정에서 섬유화되면 탄력을 잃고 점점 딱딱해진다. 이렇게 혈관이 딱딱해지면 혈압이 더 높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추운 날씨에 널뛰는 혈압을 잡지 못하면 고혈압이 악화되는 것은 물론 각종 합병증 발병 위험도 높아지는데, 이때 발생하는 합병증은 대개 치명적이다. 구지훈 원장은 혈관이 망가지면서 협심증과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으며, 뇌혈관이 손상되면서 불구가 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고 말한다. 드물지만 대동맥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사망에 이를 위험이 더욱 커진다.

ⓒgettyimagesbank

쌀쌀한 날씨, 합병증 위험 높인다
겨울과 고혈압 합병증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자료가 하나 있다. 대한고혈압학회가 통계청 자료를 기초로 고혈압 관련 질환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여름철보다 겨울철이 33%나 높다. 또 학회에 따르면 고혈압 합병증으로 사망한 사람은 10월부터 늘기 시작해 12월부터 이듬해 2월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낮은 기온이 고혈압 환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날씨가 추워지면 활동량이 줄면서 살이 찌기 쉬운데, 이 역시 혈압 상승의 원인이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체중이 10% 증가하면 혈압이 7mmHg 상승한다.

추운 날씨에는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혈액이 끈적해진다. 이때 감기나 독감 같은 호흡기 감염병에 걸리면 염증반응이 나타나면서 혈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혈압 환자, 특히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약해진 혈관에 혈전과 끈끈한 혈액이 더해지면 뇌졸중과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겨울철 고혈압 관리, 기본이 가장 중요
다행히 고혈압은 잘 관리하면 치명적인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구팀은 고혈압 환자가 목표 혈압 이하로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최대 60%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겨울철 고혈압 관리는 처방받은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와 함께 주기적인 혈압 측정과 생활 습관 관리도 해야 한다. 스스로 관리하기 어렵다면 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일례로 ‘웰체크’는 혈압 수치를 기록하면 주치의에게 공유되어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 식습관 기록도 주치의에게 공유되는 것은 물론 스스로 점검할 수 있어 관리를 지속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ㅣ 덴 매거진 2024년 12월호
글 김가영 (하이닥 건강의학 기자)


Copyright © 저작권자 © 덴 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