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군인 취업률 절반 정도.. 전직지원금은 13년째 동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방위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전역한 제대군인들이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민간 구직급여가 임금 상승분을 반영해 꾸준히 상승해온 것과 달리, 제대군인의 사회 적응을 돕는 전직지원금은 지난 2008년 지급을 시행한 이래로 장기복무자 월 50만원, 중기복무자 25만원으로 13년째 고정돼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종배 의원 "현역 사기 문제와 연결… 성공적 사회복귀 적극 도와야"
[더팩트 | 청주=김영재 기자] 국토방위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전역한 제대군인들이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21일 국민의힘 이종배의원(충북 충주)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2019년 전역자 3만6404명 중 취업자 비율은 57.5%에 불과하다.
연차별로 보면, 제대 1년차 군인의 경우 43.6%만이 취업에 성공했고 2년차는 56.5%, 3년차는 60.4% 등 시간이 지날수록 취업률이 상승해 5년차가 돼야 64.7%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 제대군인을 비롯해 34세 이하 청년과 10년 이하 중기복무자의 경우 취업률이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제대군인의 취업률은 남성(58.2%)보다 15.5%포인트 낮은 42.7%에 그쳤으며, 연령대별로 보면 34세 이하의 청년 제대군인 취업률이 51.6%로 가장 낮다. 연차별로는 10년 미만 중기복무자가 52.6%로 10년 이상 복무자들과 비교했을 때 취업률이 가장 낮다.
특히 34세 이하 청년들은 대다수(90.2%)가 10년 이하 중기복무자로, 이들은 군인연금 수령 연한(19년 6개월)에 못 미쳐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또 전역 전 소속 부대에 출근하지 않고 전직 준비만 할 수 있게 해주는 전직지원기간도 최장 3개월로 장기복무자(10개월)에 비해 턱없이 짧다.
제대군인의 사회 적응을 돕는 전직지원금 제도가 있지만, 이 또한 충분한 지원책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민간 구직급여가 임금 상승분을 반영해 꾸준히 상승해온 것과 달리, 제대군인의 사회 적응을 돕는 전직지원금은 지난 2008년 지급을 시행한 이래로 장기복무자 월 50만원, 중기복무자 25만원으로 13년째 고정돼 있다.
이 의원은 "제대 군인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는 현역 군인들의 사기와 관련되는 중요한 사안이자 제대 군인 스스로 자긍심을 느끼게 하는 핵심적인 문제"라며 "제대 군인 예우는 선진 국방을 위한 첫 걸음인 만큼,정부가 지원금, 재취업 교육 등을 확대해 사회 복귀를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thefactcc@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최수종, 축구 경기 중 '오른팔 다발성 골절' 전치 10주 중상
- 송영길·이준석 '약속' 어디로?…여야 협치 기대감 '뚝'
- "집값 다 올려놓고 40년 빚져라?"…주담대 논란 재점화
- [인터뷰] 손수조 "이준석은 국민의힘 '효자상품', 신메뉴 대박 난 것"(영상)
- [강일홍의 클로즈업] '코로나 탈출' 신호탄 쏜 김연자의 '아모르 파티' 공연
- '돌아온' 류현진, 제구력 회복 6승...볼티모어전 7이닝 1실점 'HQS'
- 조직개편 산 넘은 박범계·김오수…검찰인사 여세몰이
- '고 김동식 소방령 영결식'…'눈물 훔치는 동료 소방관' [포토]
- '생방 원조' 홈쇼핑 업계, 유통가 '라방 열풍'에 커진 고민
- [이슈현장] YG 신사옥 앞 달라진 풍경, the SameE의 가치(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