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로 아버지 죽음 애도… “디지털시대 스크린 역할 고민”
김민 기자 2023. 3. 17.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버지가 갑작스러운 자전거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은 남은 자들에게 답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최근엔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게임을 연상케 하는 작품 '바벨'은 컴퓨터로 아버지의 죽음을 애도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김희천 작가
부친 사망사고 등 체험 영상으로
“경험은 작품 몰입 돕는 연결고리”
부친 사망사고 등 체험 영상으로
“경험은 작품 몰입 돕는 연결고리”
아버지가 갑작스러운 자전거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은 남은 자들에게 답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왜 우리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무슨 잘못을 저질렀나. 그저 운이 나빴던 거라기엔 너무 가혹한 일 아닌가. 작가에게 남아 있는 건 아버지가 차고 있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시계의 행적과 심박 수 데이터뿐이다.
김희천 작가(34)는 영상 작품 ‘바벨’(2015년)에서 GPS 시계 속 데이터를 통해 아버지의 마지막을 추적했다. 이 작품으로 미술계의 주목을 받은 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과 아트선재센터에서 각각 2018, 2019년 개인전을 열고 국내외 비엔날레에 참가했다. 최근엔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서울 마포구 작업실에서 13일 그를 만났다.
게임을 연상케 하는 작품 ‘바벨’은 컴퓨터로 아버지의 죽음을 애도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김희천은 “누군가에겐 모니터로 애도한다는 게 끔찍하고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제 입장에서는 남은 게 그것밖에 없다는 느낌이었다”며 “애도보다 그냥 데이터를 보는 걸 멈출 수 없었고, 2015년 전시 공간 ‘반지하 B½F’에 작품을 내며 그 경험을 담게 됐다”고 말했다.
결과물은 간단한 해결책이든, 어려운 문제든 자판을 두들겨 검색부터 하고 보는 요즘 세대의 자화상이 됐다. 죽음에 관한 복잡한 질문 앞에서도 이들은 숫자와 데이터로 답을 찾으려 한다. 에르메스상 심사위원단은 “디지털이 지배하는 시대에 인간의 자아 인식을 주제로 놀라운 작업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김희천은 “또래 작가들의 작품을 보고 우리 세대는 미술관 대신 PC방에서 문화활동을 했다는 걸 알았고, 이때부터 도대체 스크린이란 무엇일까 고민하게 됐다”고 했다.
‘바벨’ 이후 그의 작업은 레이싱 게임, 인터넷 방송,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소재로 변주됐다. 개인적 경험은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출발점 중 하나다.
“글보다 직접 경험해서 아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느낍니다. 그래야 뜬구름 잡는 소리가 되지 않거든요. 경험은 관객이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연결고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경원 전준호 작가가 이정재 임수정 등 유명 배우가 출연한 고화질의 화면으로 눈길을 잡는 스타일이라면, 김희천은 드라마틱한 서사와 문학적 대사로 관객을 붙잡는다. 미술 전시에서 영상 작품은 집중하기 쉬운 장르는 아니지만, 그는 “관객이 작품을 다 보고 난 뒤 (영상 재생이) 끝난 것을 아쉬워하길 바란다”고 했다.
김 작가의 수상 기념전은 2024년 하반기 서울 강남구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열릴 예정이다.
김희천 작가(34)는 영상 작품 ‘바벨’(2015년)에서 GPS 시계 속 데이터를 통해 아버지의 마지막을 추적했다. 이 작품으로 미술계의 주목을 받은 그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과 아트선재센터에서 각각 2018, 2019년 개인전을 열고 국내외 비엔날레에 참가했다. 최근엔 제20회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서울 마포구 작업실에서 13일 그를 만났다.
게임을 연상케 하는 작품 ‘바벨’은 컴퓨터로 아버지의 죽음을 애도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김희천은 “누군가에겐 모니터로 애도한다는 게 끔찍하고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제 입장에서는 남은 게 그것밖에 없다는 느낌이었다”며 “애도보다 그냥 데이터를 보는 걸 멈출 수 없었고, 2015년 전시 공간 ‘반지하 B½F’에 작품을 내며 그 경험을 담게 됐다”고 말했다.
결과물은 간단한 해결책이든, 어려운 문제든 자판을 두들겨 검색부터 하고 보는 요즘 세대의 자화상이 됐다. 죽음에 관한 복잡한 질문 앞에서도 이들은 숫자와 데이터로 답을 찾으려 한다. 에르메스상 심사위원단은 “디지털이 지배하는 시대에 인간의 자아 인식을 주제로 놀라운 작업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김희천은 “또래 작가들의 작품을 보고 우리 세대는 미술관 대신 PC방에서 문화활동을 했다는 걸 알았고, 이때부터 도대체 스크린이란 무엇일까 고민하게 됐다”고 했다.
‘바벨’ 이후 그의 작업은 레이싱 게임, 인터넷 방송,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소재로 변주됐다. 개인적 경험은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출발점 중 하나다.
“글보다 직접 경험해서 아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느낍니다. 그래야 뜬구름 잡는 소리가 되지 않거든요. 경험은 관객이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연결고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경원 전준호 작가가 이정재 임수정 등 유명 배우가 출연한 고화질의 화면으로 눈길을 잡는 스타일이라면, 김희천은 드라마틱한 서사와 문학적 대사로 관객을 붙잡는다. 미술 전시에서 영상 작품은 집중하기 쉬운 장르는 아니지만, 그는 “관객이 작품을 다 보고 난 뒤 (영상 재생이) 끝난 것을 아쉬워하길 바란다”고 했다.
김 작가의 수상 기념전은 2024년 하반기 서울 강남구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열릴 예정이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지소미아 완전 정상화… 안보-경제 갈등, 3년 8개월만에 봉합
- [이기홍 칼럼]한일관계 결단… “이완용” 선동 뚫고 열매 맺어야
- [단독]이재명, 국토부 협박받아 했다는 ‘백현동 용도변경’… “적극 행정 사례로 치적 활용”
- [단독]김성태 비자금 창구 의혹 조합에 대장동 ‘헬멧남’도 참여
- 北, 이틀간격 사거리 다른 미사일 3종 쏴… 한미일 순차 위협
- 예금자보호 한도액 23년째 5000만 원 [횡설수설/김재영]
- 與 “한일관계 봄이 찾아왔다” 野 “내주기 회담에 국민 굴욕”
- 한미, 美전략자산 무력시위 추진… 참수훈련도 실시
- “MZ 의견 반영해 근로시간 보완”… “주52시간부터 안착시켜야”
- 전경련-경단련 ‘미래기금’ 10억씩 출연, 피고기업 등 개별기업은 일단 참여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