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투데이 이세민 기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내년 4월 13일부터 판매 방식을 기존 '딜러 매입 판매제'에서 '제조사 직접판매(직판)'로 전환 한다. 직판제 도입은 수입차업계에서 토요타코리아에 이어 벤츠가 두 번째다.
업계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는 최근 전국 딜러사에 내년 4월 13일부터 판매 방식을 직판제를 전환한다고 공지했다.
반면 직판제는 제조사가 차량을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으로, 차량관리와 가격을 제조사가 직접 관리한다. 때문에 딜러사들은 전시장에서 고객 응대와 차량 인도, 서비스 제공 등의 역할만 수행하고 일정한 판매 대행수수료를 받게 된다.
직판제는 판매 과정에서의 재고 리스크를 제조사가 부담하기 때문에 딜러사의 부담이 경감되고 소비자에게는 동일하고 투명한 가격 제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수입차의 경우, 테슬라와 폴스타 등 전기차 업체를 제외한 대부분 수입사들은 전통 방식인 딜러매입제를 운영중이며 한국토요타만 3년 전부터 토요타와 렉서스 모델에 대해 순차적으로 직판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이 방식은 임포터가 차량을 소유, 관리함으로써 딜러사들이 재고 차량 보관이나 차량 구매에 필요한 금융비용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특히, 단일 가격으로 차량을 공급하는 원프라이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토요타 차량은 위탁판매제 도입 이후 지금까지 전국 딜러사들이 같은 가격에 공급하는 원프라이스 원칙을 지켜오고 있다.
즉,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 협상 부담이 줄어들고 공정한 구매 경험이 가능해지며, 브랜드 측면에서는 브랜드 가치 보호와 더불어 딜러 간 가격 출혈 경쟁 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는 독일 본사의 온라인 판매제 도입 방침에 따라 수년 전부터 온라인 판매 전환을 검토해 왔으나 딜러사와의 공존을 위해 직판제로 방향을 선회했다.
직판제로 전환될 경우, 영업 부문의 조직 및 인력 감축이 불가피해진다. 이 때문에 일부 딜러사들은 희망 퇴직을 진행하는 등 직판제 대비에 나서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벤츠가 직판 체제를 도입함으로써 국내 수입차 유통시장 전반에 '유통 패러다임 전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딜러의 수익 구조 변화, 소비자 응대 품질 유지 등이 향후 과제로 떠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