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중하고 배웅하는 공간

조회 2,0102024. 10. 28.
매일 집을 나서고 돌아오는 공간, 현관은 늘 스쳐 지나가는 곳이다. 주로 머무는 곳이 아니다보니 관심을 잘 두지 않는다. 하지만 현관은 우리 매일의 시작과 마무리를 다독여 주는 중요한 공간이다.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장서윤(디자인랩소소 소장) | 협조 하우저(건축&인테리어 매칭 플랫폼)
현관을 가진 집
현관의 한자는 玄關이다. 오묘하고 신묘한 관계를 맺는 곳이라는 뜻이다. 안으로 들어왔지만 아직 집으로 들어오지는 않은 상태의 공간, 집에서 나서 문고리를 잡았지만 아직 밖으로 나가기 전의 공간이다.
입식 생활을 하고 주거 내에서도 신발을 신는 서양의 집에서 현관은 뚜렷이 구분돼 있지 않다. 손님의 경우 주인의 안내를 잠시 기다리는 공간이고, 보통 여기서 신발과 옷의 먼지를 털고 우산을 세워 둔다. 굳이 말하자면 현관문과 같은 영역을 만들어 놓는 것에 가깝다. 뚜렷이 구분돼 있지 않기 때문에 현관이라는 공간 없이 바로 복도나 거실이 되기도 한다.
반면, 좌식 생활을 주로 했던 우리는 다르다. 한옥에서는 대문을 넘어 집에 들어서는 과정도 중히 여겼고, 집에 올라서기 전 댓돌에서 한 번 더 들어서기를 준비했다. 이제는 대부분 서양식 주택에 살지만, 우리는 여전히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생활한다. 아무리 침대에서 자고 의자에 앉아 밥을 먹더라도 여전히 거실을 마루라 부르고 거실 바닥에 둘러앉는 게 익숙한 우리에게 실내에서의 신발 착용은 용납할 수 없다. 지금 우리의 현관은 우리의 생활방식과 새로운 형식의 주택이 만나 생긴 새로운 공간이다.
현관은 머무는 공간
우리의 현관은 기본적으로 신발을 신고 벗는 공간이다. 외부의 먼지와 흙, 습기를 내부로 들이지 않기 위해 실내 다른 공간과 5~15㎝ 정도의 단차를 둔다. 이 작은 단차로 인해 벽이나 문이 있든 없든 현관은 다른 공간과 구분되고, 현관의 영역은 결정된다. 그래서 우리의 현관은 하나의 공간이다. 나갈 때는 신발을 골라 신고 옷매무새를 다듬고, 들어올 때는 신발을 벗고 우산을 정리하고 신발도 정리한다. 이 행위들이 있어 들어서는 이와 맞이하는 이가 마주하고 응대할 때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현관에 비교적 오래 머문다. 머무는 시간만큼 이 공간의 느낌 역시 그저 집의 첫인상과 마지막 인상이라고만 말하기는 부족하다. 조금 더 많은 공간적 장치들이 있고, 그에 따른 공간감이 존재한다. 크기 그리고 배치하는 물건들과 조명 등에 따라 현관의 공간감은 달라지고, 이는 집에 대한 다른 감상을 불러일으킨다.
현관은 기본적으로 신발을 신고 벗는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다른 공간과 5~15cm 정도의 단차를 두는데 이 차이로 인해 벽이나 문이 있든 없든 현관은 다른 공간과 구분되고 영역이 결정된다.
현관이라는 공간 만들기
현관에서 행해지는 행위들이 있으므로 크기는 꽤 중요하다. 집을 지을 때나 고칠 때 거실이나 방과 같은 실내 주요 공간들의 크기에 주로 관심이 집중되다 보니 현관은 최소한으로 만들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한정된 면적 안에서 다른 공간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면 어쩔 수 없지만, 가능만 하다면 큰 현관을 시도해보자. 집에 들어서는 첫 공간이므로 현관이 큰 집은 시원하고 넓은 느낌을 준다. 자전거나 유모차를 둘 수도 있고, 움직임이 자유로우므로 실용적이기도 하다.
현관에는 수납할 것이 생각보다 많다. 신발을 수납해야 하므로 현관에는 기본적으로 신발장이 존재한다. 보통 신발장은 늘 부족하기 때문에 벽 한 면을 꽉 채워 수납장을 만든다. 하지만 하부를 살짝 띄워 조명을 넣거나, 신발장 가운데 부분에 문이 없는 선반을 둔다거나 하는 것으로 그 답답함을 조금은 해소할 수 있다. 보통은 쉽지 않겠지만, 공간에 여유가 있다면 현관 옆에 별도의 방으로 창고형 수납공간을 두어 우산이나 신발, 킥보드, 유모차 등을 수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공간은 외부와 가깝고 난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선선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 마른 식재료 등을 보관하기 좋다. 창고를 두기 어려울 경우 수납장으로 최대한의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겠지만 너무 욕심을 부리면 현관이 답답해지므로 다른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집에 들어서는 첫 공간이므로 현관이 큰 집은 시원하고 넓은 느낌을 준다.
이제 현관과 실내 다른 공간들 사이에 중문을 설치하는 경우도 흔해졌다. 문이지만 답답함을 피하고 내부에서도 바라보이거나 빛이 통하도록 대체로 유리문을 설치한다. 바깥의 바람과 위험을 막아야 하는 현관문에 비해 기능이 중요하지 않아 재질과 모양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인테리어를 할 때 중문의 디자인 역시 집의 인상을 좌우하는 매우 큰 요소이므로 전체 분위기와 맞게, 또는 포인트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중문은 비록 단열문은 아니더라도 현관의 외부 냉기나 열기를 막아주는 역할은 분명히 하고 있다. 냉난방 효율을 높이는 역할도 제법 하고 있는 것이다.
중문의 디자인 역시 집의 인상을 좌우하는 매우 큰 요소이므로 전체 분위기에 맞게 또는 포인트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다. 사진은 집에 대한 기대와 설렘을 느낄 수 있는 주택 ‘상상재’의 현관과 중문(출처: 디자인랩소소)
현관에는 보안과 안전을 위해 보통 센서 조명을 설치한다. 예전에는 센서 조명으로 선택할 수 있는 디자인이 많지 않았지만, 요즘은 다양한 디자인 조명들이 있어 집 전체 및 현관의 분위기에 맞게 선택해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신발장 아래에 간접등을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간접등은 분위기를 부드럽고 따뜻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신고 벗을 때에도 도움이 된다. 선반이 있다면 선반에도 간접등을 설치할 수 있고, 포인트 벽등 같은 것을 설치해 보는 것도 괜찮다. 전기공사를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센서 조명들도 시중에 많이 나와 있으므로, 지금 현관이 답답하다면 당장 시도해 봐도 좋다. 알고 보면 집의 분위기와 정체성을 나타내기에 현관만큼 좋은 곳도 없다.
기본적인 것들 외에 현관에 두면 좋은 것으로, 벤치 같은 앉을 수 있는 용품을 추천한다.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앉을 수 있어 편리하고, 짐을 잠시 내려놓기도 좋다. 실용적인 측면 외에도 벤치는 공간을 따스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나 장식을 두어 집의 첫 공간을 계절에 따라 꾸밀 수도 있고, 뒤쪽 벽에 그림을 걸거나 조명을 두어 감각적인 공간을 만들 수도 있다. 현관이 따스해지면 집은 따스해지고, 현관이 아름다워지면 집도 아름다워진다. 들고날 때마다 집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예전에는 두꺼비집이 있는 분전함 등을 보이지 않게 붙박이 신발장 안쪽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법이 바뀌어 분전함은 반드시 보이게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신축 시에는 분전함이 설치되는 곳에 신발장을 설치하지 못하게 됐다. 수납장을 일부 파내고 드러낼 수도 있겠지만, 이 법으로 여유가 생긴 현관 벽에 예쁜 벤치를 두는 것을 권해 본다.
집에 들고나는 길
마당이 있는 집에서는 현관에서 대문까지의 길 역시 들고나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 길이 짧을 수도 길 수도 있지만, 마당에 들어섰을 때 느끼는 안도감과 현관에 들어섰을 때야 비로소 느껴지는 편안함이 차례로 우리 마음에 와 닿는 것은 우리 생활을 든든하게 한다. 돌, 벽돌 등을 깔거나 식재를 달리해 이 짧은 길을 걷기에 조금 더 편안하게 만들어 주면 집을 떠나는 길에 조금 더 힘을 내고, 집으로 돌아오는 마지막 길이 조금 더 포근해질 수 있다.
현재 시공 중인 숲숨집의 들고나는 길 공간. 계절마다 변하는 이 공간의 식물들과 나무를 보면서 우리 집 벽 사이의 따스하고 단단한 바닥을 걸어 들고나는 시간은 집에 들어설 때는 안도감을, 집을 나설 때는 든든한 응원을 선물해 주리라 믿는다.(출처: 디자인랩소소)
작지만 큰 공간
현관, 즉 들고나는 공간은 일터로 나가는 우리에게 널 위한 공간이 여기 있으니 힘내라고 북돋아 주고, 피곤한 몸으로 돌아오는 우리를 수고했다 맞이하고 다독여 준다. 설레는 만남의 순간을 보듬어 주고, 아쉬운 이별의 순간도 지켜본다. 그저 급히 지나가는 공간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조금은 정성을 기울여 꾸며 본다면 이 작은 공간이 주는 생활의 변화와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진정 따뜻하고 좋은 집은 이런 작은 마음들과 정성들이 단단히 모인 집이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