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위기에 급감하는 美대출…연준 금리결정 ‘주목’

유병훈 기자 2023. 3. 17. 18: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은행권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대출 급감으로 인해 경기후퇴가 더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CNBC 방송은 15일(현지 시각) 월가(街)가 당초 올 하반기쯤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SVB 파산 이후 침체 예상 시기를 앞당기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의 뉴욕증권거래소 /로이터=뉴스1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은행권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대출 급감으로 인해 경기후퇴가 더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CNBC 방송은 15일(현지 시각) 월가(街)가 당초 올 하반기쯤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SVB 파산 이후 침체 예상 시기를 앞당기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월가의 주요 금융기관들은 SVB 파산 여파로 금융권 대출이 축소될 것이란 전망 아래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시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잔디는 1분기 성장률은 1∼2%대를 보이겠지만 2, 3분기에는 0∼1% 성장률에 그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마이너스 성장도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1.5%에서 1.2%로 0.3%포인트 하향 조정하면서 중소은행들의 대출 축소와 금융권 불안 등을 이유로 꼽았다. JP모건도 중소은행의 대출 증가세 둔화가 내년이나 오는 2025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을 0.5∼1%포인트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CNBC는 그러면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채권 금리 하락 ▲원유·주가의 급락 ▲시장의 변동성 확대도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투자자들의 공포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

냇웨스트 마켓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존 브릭스는 신용은 기계의 윤활유와도 같다며 단기적인 충격이 진정되더라도 금융기관들의 위험회피 심리로 인해 대출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금융권, 특히 지방은행들의 대출 축소가 현지 은행과 긴밀히 엮여 있는 중소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며 “대출 위축이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나 최소한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 둔화) 충격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모건스탠리자산운용의 짐 캐런도 SVB 사태 이후 금융시장 상태가 현저히 위축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 시장의 대체적인 인식이라고 전했다. 그는 주가와 채권 금리가 떨어지는 지금 상황은 시장이 마치 3번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면서 이런 상황이 실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CNBC는 신용대출 축소가 경제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와중에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성장률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SVB 사태 이후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지금은 0.2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