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美 국방부 차관보 "화웨이 쓰는 나라와 정보 공유 어려워"

김정안 2019. 6. 23. 19:3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강경파인 슈라이버 미국 국방부 차관보를 채널A가 단독으로 만났습니다.

북한과 밀착하는 중국을 향해 대북 제재에 구멍을 내지 말라 경고하면서 우리 정부에는 화웨이를 쓰는 나라와 민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며 제재에 동참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슈라이버 차관보는 북중 밀착이 대북 제재 완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랜들 슈라이버 / 미국 국방부 차관보]
"중국은 대북 제재에 있어 더 많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북한의 대북 제재 우회 수법은 (중국 영해 등에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중국 화웨이에 대한 거래 제한에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동참해 달라는 요구도 공개적으로 했습니다.

[랜들 슈라이버 / 미국 국방부 차관보]
"화웨이는 중국 공산당 지도부와 연결돼 있고 (미국과 동맹에 대한) 안보 취약성이 존재합니다."

아무리 동맹국일지라도 화웨이를 계속 쓰는 나라와는 민감한 군사 정보를 공유할 수 없음도 시사했습니다.

[랜들 슈라이버 / 미국 국방부 차관보]
"화웨이 때문에 동맹국과 미국이 (대북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게 되지 않길 바랍니다."

최근 국방부가 인도-태평양보고서에서 대만을 국가로 지칭한 것은 중국에 함께 맞설 중요한 안보 동맹으로 삼겠단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랜들 슈라이버 / 미 국방 차관보]
(대만을 국가로 지칭해 '하나의 중국' 정책을 파기한다는 뜻입니까?)
"아닙니다. 다른 해당국과 함께 총칭하는 데 편리한 표현이었을 뿐입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

영상취재: 안순후(VJ)
영상편집: 민병석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