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 없었던 상생협의…배달수수료 중재 안 되면 정부案으로
입점업체 요구안 수용 안 돼
배달플랫폼들 네탓 공방만
소비자 원성에도 평행선 달려
'협상 방치' 정부 책임론도
자영업자 불황터널 길어져
"생존 하려면 수수료 내려야"
정부가 배달 앱 중개수수료 인하 등을 위해 출범시킨 배달 플랫폼·입점 업체 상생협의체는 석 달 동안 상생안 마련을 시도하면서 양측이 팽팽한 논의를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배달 플랫폼 업체 간에 '네 탓' 공방을 벌이며 반목이 커지는 등 지지부진한 과정을 거쳤다. 협상이 평행선을 달리는 동안 소비자 원성은 커져만 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 앱 운영사들은 이날 7차 회의에서도 입점 업체 단체가 요구했던 '수수료율 5% 상한제'를 수용하지 않았다. 가장 쟁점이 되는 배달 앱 수수료 완화안을 두고 양측이 입장 차이를 이어가면서 이날도 협상은 결렬됐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의 경우 6차 회의 당시 매출액 기준 상위 60% 점주에게 기존과 같은 9.8% 중개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이보다 매출이 적은 점주에게 수수료를 낮추는 상생안을 제시했다. 상위 60~80%에는 업체가 손님에게 제공하는 할인 혜택이 1000원이면 수수료율 6.8%를, 1500원이면 4.9%를 각각 적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입점 업체 단체들은 "현행보다 후퇴한 안"이라며 강하게 거부했다. 배민 제안대로라면 점주가 1000원 할인을 제공할 시 중개수수료보다 할인 혜택이 더 큰 경우가 생겨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배달 앱 업계 2위인 쿠팡이츠는 협의체에 내놓을 뚜렷한 상생안을 6차 회의까지 마련하지 못하고 관망세를 취했다. 이날 7차 회의를 앞두고는 상생안을 협의체에 제출했지만, 입점 업체 측과 의견 조율에 이르지는 못했다.
입점 업체들도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했다. 일부 단체가 5% 상한제와 매출액에 따른 차등 수수료율 적용을 주장했지만, 다른 단체는 상한제 없이 평균 수수료율을 5.0~5.5%에 맞출 것을 요구한 식이다.
협의체 논의가 지지부진한 과정에 업주들은 참다 못해 '이중가격제'를 들고나오기도 했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등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을 비싸게 책정했다. 양측이 합의해야 할 수수료가 국민에게 전가된 셈이다.
이런 와중에 양대 배달 앱 업체는 상호 비방전에만 열을 올리며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쿠팡이츠는 지난달 24일 "자사는 (입점 업체로부터 받는) 기존 수수료(9.8%)를 동결하고 무료 배달에 따른 고객 부담 배달비를 업주와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는다. 반면 타사는 무료 배달에 따른 비용을 외식업주와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며 중개수수료를 6.8%에서 9.8%로 인상한 배민을 겨냥했다.
업계 1위 배민도 반박했다. 배민은 "쿠팡이츠가 마치 같은 서비스인 것처럼 비교한 가게 배달의 경우 쿠팡이 운영하지 않고 있는 정률제 서비스"라며 "(가게 배달은) 6.8% 중개수수료로 가장 낮은 요율을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쿠팡이츠는 가게 배달을 이중가격제 원인으로 내세웠지만 해당 서비스에 대해 당사는 수수료를 올린 바 없다"고 주장했다.
양측 협상이 공전을 거듭하는데도 사실상 방치해온 정부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측 의견을 수렴하고 검토했다는 입장만 반복했다.
비판 여론이 계속 커지자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 6일 "상생협의체에서 내놓은 방안이 사회적인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면, 정부로서는 입법을 통한 제도 개선 등 추가적 방안도 강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직접 입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날 배달 플랫폼과 입점 업체 협상이 또다시 결렬되면서 외식 업계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수료 체계를 시급히 개선하지 않으면 배달 중심 외식 업체들이 도산할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치킨 가게를 운영하는 한 사장은 "배민이 여러 수수료 체계를 만든 후 업체에 선택하도록 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실상 거의 똑같기 때문에 배민만 배를 불려주는 구조"라며 "현 구조에서 치킨 가게 등 배달 중심으로 운영하는 업체가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판매가격을 올리는 것뿐"이라고 토로했다.
중식집 관계자는 "배달 앱 서비스 제공 업체가 수수료를 정액이 아닌 매출의 일정 비율을 가져가면서 치킨 등 배달음식 가격을 인상하면 배달 앱 서비스 제공 업체 수익만 높아지기 때문에 수수료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곽은산 기자 / 신수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날 감정적으로 건드리지 마라”…방송 중 뛰쳐나간 박수홍, 무슨일이 - 매일경제
- “발로 차고 얼굴 짓밟고”…음식 배달 기사 폭행한 만취女, 중국 ‘발칵’ - 매일경제
- [단독] ‘최대 34개월치 임금’…내일까지 희망퇴직 받는 오비맥주 “강제성 없다” - 매일경제
- 北포병부대 ‘사격준비태세’ 지시에…軍, 즉시투입 포병전력 늘려 - 매일경제
- “곳곳에 빈집, 이 동네 심상치 않네”…미분양 가구 5년 새 13배 폭증한 이곳 - 매일경제
- “스웨덴 보다 벽이 높‘軍’”...노벨상 수상자 한강도 들어가지 못한 그 도서관 - 매일경제
- “우리 아이가 자위를 해요, 어쩌죠”...안절부절 초보 엄마·아빠 육아 궁금중 ‘이곳’서 풀어
- “삼성이랑 정말 비교되네”…내년까지 HBM 완판에 질주하는 SK하이닉스 - 매일경제
- 인천~여의도 30분 ‘컷’…제4경인고속 건설 재추진 - 매일경제
- 의리 김보성 복싱 시범경기 졌다…설욕 도전 무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