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추자해상풍력 주민 수용성·상생 결여"..김호민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제주방송 조창범 2022. 9. 30. 2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추자해상풍력사업으로 인한 주민 갈등에서부터 인허가권까지 논란이 점차 확산되는 분위깁니다.

또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어도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Q4. 탄소배출 없는 섬, CFI 2030 프로젝트가 현실성 있게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Q5.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발생하는 수익이 실제 도민사회에 환원되는가 하는 질문에 체감도 낮다고 보여집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추자해상풍력사업으로 인한 주민 갈등에서부터 인허가권까지 논란이 점차 확산되는 분위깁니다.

또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어도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신임 김호민 제주에너지공사 사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리포트)

김호민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Q1.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추자해상풍력사업에 대한 해법은 어떻게 고민하고 계신가요?

A1. 추자도 해상풍력 발전의 문제점은 지역주민의 수용성 문제와 지역상생의 문제가 결여돼 있다는 판단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이 가장 근본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가 사업성이 있느냐에 대한 평가입니다.

사업성이 있어야 사업 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사업이 중단됐을 때 추자도 주민들에게 더 큰 환경피해와 아픔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 문제를 중점적으로 고려를 해서 해결하려고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2. 풍력이나 태양광에 대한 출력제어도 문제가 해마다 되풀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해소 방안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A2. 이런 제주도의 문제는 유럽, 해외 선진국에서 이미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입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는 이미 제주도의 문제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도 있기 때문에 국가 제10차 전력수급계획안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을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ESS를 확충한다든지, 3연계선을 조기에 개통을 한다든지 해서 제주지역에 남아도는 전기를 다른 에너지로 전환을 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찾고 있습니다.

Q3. 제주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그린수소 실증사업이 시작됐는데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A3. 그린수소 생산은 결국은 우리나라 특히 제주도가 2030 이후에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소경제 사회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어제 행사의 경우 총 네 가지의 그린수소 생산 기술에 대한 실증사업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을 진행하는 건데요.

여러 가지 수소 생산 모델 중에 사업화가 가능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기회를 가지고서 향후 제주도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도민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값싸게 공급받을 수 있는 미래사회의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Q4. 탄소배출 없는 섬, CFI 2030 프로젝트가 현실성 있게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대안들이 있을까요?

A4. 지금까지 CFI2030 정책은 목표 달성을 위해서 우리가 달려왔습니다.

그러다보니까 재생에너지 보급, 확충에 주안점을 뒀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도민의 전력시장은 도민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값싸고 안정적인 그러한 전력을 도민들한테 공급할 수 있는 모델로 바뀌어야하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서 마을단위의 소규모 분산 전환과 에너지저장장치를 한꺼번에 묶어서 에너지를 공급하고 바로 그 옆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소규모 마이크로그리드 방식의 기술들을 접목한 전력 시장으로 바뀌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5.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발생하는 수익이 실제 도민사회에 환원되는가 하는 질문에 체감도 낮다고 보여집니다.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A5. 신재생에너지원 중 풍력발전의 경우 건설을 할 때 막대한 재원이 투입됩니다.

80% 가까이를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서 사업자들이 건설을 하게 되는데요.

풍력발전을 20년 동안 운영한다면 초기 건설비용을 회수하는데 6년에서 7년이 소요가 되다보니 현재 제주도에서 운영 중인 풍력발전단지들은 그 기간 내 수익이 적게 낼 수밖에 없습니다.

제주자치도가 공공에너지 이익 공유화 제도를 통해서 수익금의 17.5%를 도민을 위해서 적립을 하지만 이 금액이 적어집니다.

특히 과거에 풍력발전단지들은, 오히려 예를 들어서 신창에서 남부발전이 운영하는 풍력발전단지는 15년이 됐지만 적자가 나는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조창범(cbcho@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