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14바퀴도 돈다…한국인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 보니

박상욱 기자 2023. 3. 22. 20: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람들이 지난 몇 년 동안 코로나 방역에 몰두하는 사이, 플라스틱 쓰레기는 계속 쌓여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1년 동안 나오는 양을 한 줄로 늘어놓으면, 지구 열 네 바퀴를 돌 수 있습니다.

박상욱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폐지가 쉴새 없이 들어옵니다.

그런데 종이만 배출된 게 아닙니다.

골판지와 함께 섞여들어온 것, 플라스틱으로 만든 라면 뚜껑, 페트병까지 모두 한 데 뒤엉켜있습니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폐지 처리장까지 잠식한 겁니다.

실제 가정에서는 얼마나 쓰는지 확인해봤습니다.

생수, 즉석밥 등 냉장고에 플라스틱이 가득합니다.

배달음식 용기도 많습니다.

[김준현/서울 봉천동 : 혼자 살다 보니까 거의 매일 저녁 정도는 시켜 먹는 거 같긴 해요.]

한 사람이 쓰는 일회용 플라스틱, 갯수로 따지면 연간 1312개에 달합니다.

1인당 생수 페트병과 컵은 100개 넘게, 일회용 비닐봉투와 배달용기는 500개 넘게 사용한 겁니다.

특히 재활용되는 건 10개 중 채 2개도 안됩니다.

[김나라/그린피스 캠페이너 : 음식물이 많이 묻어 있으면 또 재활용이 안 되거나, 아니면 이제 플라스틱이 여러 종류가 같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플라스틱들도 있기 때문에…]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은 2018년 이후 크게 늘었습니다.

우리가 연간 쓴 페트병을 일렬로 놓으면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컵은 지구에서 달을 갔다 올 정돕니다.

[장용철/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 생산 단계부터 일단 대체할 수 있는, 산업계에서 아예 플라스틱 안 쓰는 재질로 만드는 게 중요하고요.]

플라스틱 사용 규제를 더 강화하는 한편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찾아야 합니다.

(영상디자인 : 최석헌·김현주)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