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의 축’ 열세에 승리 취한 이스라엘… ‘죽음의 함정’ 빠지나 [세계는 지금]
헤즈볼라 수장 나스랄라 제거
‘저항의 축’ 수뇌부 사실상 궤멸
이 네타냐후 “소탕” 지상전 폭주
과거에도 게릴라전 막혀 ‘백기’
장기전 가면 치명적 손실 초래
이란 핵무장 가속 땐 안보 위협
“이, 휴전 등 출구전략 모색해야”
‘저항의 축’(Axis of Resistance)은 과연 무너질 것인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전쟁이 1년을 넘기면서 친(親)이란 무장세력 연대 ‘저항의 축’이 흔들리고 있다. 핵심 세력 중 하나인 하마스의 병력은 절반 넘게 줄었고, 연대의 맏형 격인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핵심 수뇌부는 사실상 전멸했다.
◆승리에 도취한 이스라엘
하마스와 헤즈볼라는 현재 창설 이래 ‘최약체’로 평가받고 있다. 막대한 병력 손실은 물론이고, 두 조직의 정치·군사 최고지도자가 모두 이스라엘군에 살해되며 구심점을 잃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8일(현지시간) 영상 성명에서 헤즈볼라가 “최근 수년간 가장 약해진 상태”라고 말했으며,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도 이날 북부사령부를 방문해 “하마스는 전쟁 1년 만에 해체된 조직이 됐고, 헤즈볼라는 부상 입은 조직이 됐다”고 주장했다.
‘저항의 축’이 흔들리는 만큼 이스라엘군과 전시내각은 승리감과 자신감에 도취했다. 나스랄라의 사망 후 3일 만인 지난달 30일, 동맹국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한 만류에도 이스라엘군은 레바논에서 헤즈볼라를 상대로 한 지상전을 개시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지상전이 결국 이스라엘의 발목을 잡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스라엘 일간 예디오스 아로노스는 지상 침공이 “헤즈볼라가 설치한 ‘죽음의 함정’(death trap)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스라엘군이 1982년과 2006년 레바논 침공에서 겪은 실패를 반복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1982년 침공에서 국경 넘어 40㎞까지만 진군해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소탕하고 48시간 내로 철수하겠다는 초기 계획과 달리 수도 베이루트까지 봉쇄한 뒤 4개월이 지나서야 국제사회의 압박에 밀려 철수했다. 강경파들의 확전 방침에 따라 진격을 계속한 결과였다.
이스라엘군이 진격을 이어간다면 레바논 남부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한 헤즈볼라의 게릴라 전술을 상대해야 한다. 이는 이스라엘군에 치명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스라엘은 2006년 침공에서도 땅굴을 이용한 헤즈볼라의 게릴라전에 고전을 면치 못해 34일 만에 전쟁을 종료했다. 이스라엘은 침공 명분이었던 자국 병사 구출에도 실패했고, 121명의 병사까지 잃어 사실상 패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상전 리스크는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 지상전 개시 이틀 만에 이스라엘군 장병 9명이 전사했다. 반면 지상전 성과는 아직 뚜렷하지 않다. 헤즈볼라 2인자 나임 카셈도 8일 연설에서 “남부에서 지상 충돌이 7일 전 시작됐으나 이스라엘은 아직 진군하지 못하고 있다”며 “우리의 역량은 아직 온전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워싱턴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무함마드 마자리 연구원은 지난달 30일 “헤즈볼라가 지상전에 대비해 군사 자원을 아껴뒀을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이스라엘이 맞닥뜨릴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헤즈볼라의 회복’이다. 소모적인 지상전이 이어지는 동안 헤즈볼라가 핵심 수뇌부의 공백을 메우고 이란의 무기 지원을 받아 전투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도부 교체는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게 군사 분석가들의 중론이다. 헤즈볼라 자체가 지도자가 암살당하면 며칠 내로 신속히 교체하는 방식으로 조직돼 있기 때문이다. 영국 카디프대의 아말 사드 박사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서 “(헤즈볼라) 조직원들은 중복되는 역할과 임무를 위임받아 이전 지도자의 공백을 빠르게 메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헤즈볼라는 병력 손실도 적은 편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8일 헤즈볼라 대원 “수천 명”을 제거했다고 발표했는데,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2021년 기준 헤즈볼라가 2만명의 현역 전투원과 2만5000명의 예비군을 보유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스라엘의 지상 침공이 레바논 내부의 항전 의지를 자극해 헤즈볼라의 세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의 1982년 레바논 침공 직후 창설돼 약 18년간 레바논 남부를 점령한 이스라엘에 저항하며 세력을 키웠다. 이브라힘 알 마라시 캘리포니아주립대 역사학과 교수는 영국 타임스 기고문에서 “분쟁이 계속되는 한 (이스라엘에) 복수를 추구하는 새로운 세대의 레바논인들이 헤즈볼라에 가세할 것이고, 이스라엘의 안보는 계속 위협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결국 이스라엘이 하루빨리 출구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6일 “이스라엘 정부가 명확한 출구전략을 세우지 못한다면 이스라엘군은 자원 한계에 다다르는 장기적인 소모전에 빠져들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기전은 이스라엘을 더욱 불안정한 역내 안보 상황에 빠트릴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란의 핵무기 개발 가능성 때문이다. 이란은 그동안 이스라엘에 대한 핵심 억지 수단으로 ‘저항의 축’을 이용했는데, 이들의 억지력이 약해짐에 따라 새 수단으로 핵무기 확보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치 자문 업체 유라시아 그룹의 이란 담당 수석 분석가는 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대(對)이스라엘 대응력의 약화는 이란에 새로운 억지력의 원천을 개발하도록 압박할 것이며, 이는 핵 프로그램 확장 압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구전략에는 외교적 합의가 필수적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스라엘이 지상전 목표로 내건 ‘북부 주민의 안전한 귀환’을 달성하기 위해 남부 접경 지역을 ‘완충지대’로 만들려면, 양측의 휴전 합의가 가장 명확하고 신속한 방식이라서다.
위험관리 컨설팅 회사 르벡인터내셔널의 정보 책임자 마이클 호로비츠는 “이스라엘이 정치·외교적 해법이 없는 군사적 선택지만 추구한다면 (목표 달성을 위해) 더 긴 작전에 휘말리는 위험을 피할 수 없다”며 “레바논에 갇히는 것을 피하고 싶다면 외교적 해결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