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주세요. 어머니가 사라졌어요”…지난해 치매노인 실종 신고 1.5만건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 2024. 10. 14. 19: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인인구 증가로 치매환자 실종건수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그런데 실종 치매환자 위치 파악을 위한 복지용구인 '배회감지기' 이용률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치매환자 실종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치매환자의 실종건수도 매년 늘어나고 있다.

치매환자 실종 접수 건수의 과반을 차지했던 수도권은 서울과 경기 모두 각각 1.7%의 이용률을 보이며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를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고건수 2019년 1만2131건→2023년 1만4677건
배회감지기 이용률 2.9% 불과
치매노인 [사진 = 연합뉴스]
노인인구 증가로 치매환자 실종건수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그런데 실종 치매환자 위치 파악을 위한 복지용구인 ‘배회감지기’ 이용률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2019년 1만2131건에서 2023년 1만4677건으로 21.0% 증가했다.

반면,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인 치매특별등급과 인지지원등급으로 판정받은 수급자 중 배회감지기 이용자 비율은 2019년 4.6%에서 2023년 2.9%로 감소했다.

시·도별 치매환자 실종신고 접수 현황을 보면, 치매환자의 실종건수도 매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실종 접수 건수의 55.9%는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실종 치매환자를 발견하는 데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 역시 2019년 8.0시간에서 2023년 8.2시간으로 늘어났다.

장종태 의원은 “치매환자 실종은 환자의 생명이 걸린 문제”라면서 “특히 매년 폭염과 한파가 심해지는 근래에 들어서는 실종자가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신속한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종 치매환자가 사망 상태로 발견된 사례도 2023년 83건 발생했다. 사망 발견 건수는 2019년 97건보다는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매년 100여건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다.

다행히 배회감지기를 이용할 경우 실종 치매 환자 발견까지 8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이 1시간 안팎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나탔다. 배회감지기는 일종의 위치추적기로, 착용자의 위치와 동선 확인을 할 수 있다. 또 설정해 둔 권역을 벗어날 경우 보호자 알림, 위기상황 긴급호출 알림 등이 전송된다.

지난해 기준 배회감지기 이용자는 4293명으로, 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치매환자에 해당하는 수급자 14만9605명(5등급 12만3971명, 인지지원등급 2만5634명) 중 2.9%에 불과하다. 치매환자인 수급자 8만8941명(5등급 7만3294명, 인지지원등급 1만5647명) 중 배회감지기 이용자가 4128명이었던 2019년도과 비교하면 이용률 4.6%에서 하락한 수치다.

배회감지기 이용률을 시도별로 비교하면, 2023년 기준 가장 이용률이 높은 지역은 강원도(13.7%)로, 유일하게 두 자릿수의 이용률을 기록했다. 반면, 이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0.2%의 이용률을 보인 제주도였다. 치매환자 실종 접수 건수의 과반을 차지했던 수도권은 서울과 경기 모두 각각 1.7%의 이용률을 보이며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를 보였다.

장 의원은 “배회감지기 보급을 위한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배회감지기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저조한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면서 “신발깔창형 배회감지기나 도시 지역에는 스마트태그와 같은 새로운 위치감지기를 복지용구로 도입하는 방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