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교육청, 일제잔재 청산 교육·사업 적극 나서야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과 15일 광복절을 앞두고 올 1학기 경남지역 학생들의 관련 활동을 돌아봤다. 경남교육청 일제 잔재 청산에 관한 조례는 2021년 9월 시행됐다. 도교육청이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함안 칠서초등학교 이룡분교장에 있는 '독립문' 조형물. 1981년 8월 15일 지역민 뜻을 모아 세워졌다. /이동욱 기자
함안 칠서초등학교 이룡분교장에 있는 '독립문' 조형물. 1981년 8월 15일 지역민 뜻을 모아 세워졌다. /이동욱 기자

◇일제잔재 청산·독립운동사 교육 = 도교육청 '2024 역사교육 및 독도교육 기본계획'을 보면 조례에 따라 교육청은 학교 교육과정 중심의 일제 잔재 청산 교육을 지원한다. 학교는 한국사, 사회, 도덕, 국어, 음악, 미술, 가정 등 교과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에서 이 교육을 진행한다.

도교육청은 학교 내 일본어식 용어를 바꾸자며 월별로 포스터도 배포한다. 올 3~6월 공유한 내용을 보면 △반장 → 봉사위원·(학급자치회)회장 △훈화 → 도움 말씀·덕담 △내역 → 명세·세부내용 △상신 → 올림·보고 △견적 → 어림셈·추산 △절취선 → 자름선·자르는 선 △카라·에리 → 옷깃 △간주하다 → 보다·여기다 등이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친일 교가로 의심되는 35개 학교 등에는 학교 교육공동체가 자발적으로 일제 잔재 학교 상징을 정비하게끔 상담한다. 통영 출신 고 김복득(1918~2018) 할머니 일대기 등 일본군 '위안부' 바로알기 교육자료도 학교로 보급하고 있다.

교육지원청과 각 학교에서도 지역 독립운동사를 배우거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활동이 잇따랐다. 밀양교육지원청 소속 중학생과 교원 등 43명은 7월 11~12일 경북독립운동기념관과 밀양 독립운동가 석정 윤세주의 의열단 동지이자 민족시인 이육사 기념관 등에서 안동지역 항일독립운동사를 배웠다. 2021년 11월 밀양-안동교육지원청은 '독립운동사 관련 교육 교류' 협약을 맺었다.

마산무학여자중학교는 4월과 5월 전교생을 대상으로 <김명시 - 묻힐 뻔한 여성 항일독립영웅>을 쓴 이춘 작가 특강을 열었고, 양산중앙중학교 역사교육 자율 동아리 학생 15명은 올 1월 교내 축제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기억' 부스를 운영했다. 특히 양산중앙중 학생들은 음료와 나비 배지 판매 수익 27만 3400원 전액을 김복동평화공원 양산시민추진위원회에 기부했다.

◇'건국절' 비판…조회대 철거 제안 = 박종훈 교육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광복절을 맞아 '건국절' 주장을 비판했다. 박 교육감은 12일 간부공무원이 참석한 월요회의에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가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독립운동 과정과 친일부역 과정을 깡그리 무시해버리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건국절이라고 하면서 그 이전 역사를 지워버리려는 사람들도 있다"고 꼬집었다.

또 박 교육감은 "나중에 지구 끝까지라도 찾아가 잘못한 사람은 응징하고 좋은 일을 한 사람은 상을 주는 것이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치는 바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일제 잔재인 학교 운동장 조회대를 철거해 역사적 정체성을 되찾고 안전사고를 예방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박남용(국민의힘·창원7) 경남도의원은 "학교 현장에 다녀보니 조회대가 잘 쓰이지 않고 있었고, 위험물이라서 공제회 자료를 받아보니 해마다 안전사고까지 몇 건씩(올해 6월까지 6건) 일어나고 있었다"며 "일제 잔재이자 권위주의 상징인 조회대 전수조사를 도교육청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학교 조회대는 구령대라고도 불리며 전교생 조회 등에 써왔으나 조회가 사라지고 강당 행사 또는 방송을 하면서 쓸모가 없어졌다. 오히려 떨어짐 사고 위험이 있고 체육이나 체험활동에도 방해가 되고 있다. 일부 학교는 조회대를 학생 놀이 공간이나 쉼터로 탈바꿈했다. 경기교육청은 2016년 학교 구령대 정비 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이동욱 기자

#경남 #경남교육청 #일제잔재청산교육 #운동장조회대철거 #건국절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