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제2 롯데카드 사고 차단…카드업계, 제휴사업 실행·감시 쪼갠다

류정현 기자 2024. 2. 27. 18: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롯데카드 직원들이 협력업체와 짜고 약 100억 원 규모의 배임을 저지른 사실이 적발된 바 있습니다. 

내부통제가 부실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는데 카드업계가 금융당국과 논의해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류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권 횡령 사고가 잇따르던 지난해 7월 카드업계에도 대규모 배임사고가 터졌습니다. 

롯데카드 직원 2명이 협력업체 대표와 짜고 105억 원의 제휴계약을 체결한 뒤 66억 원을 페이퍼컴퍼니 등으로 빼돌렸습니다. 

이렇게 빼돌린 돈은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자동차와 상품권 등을 사는데 썼습니다. 

이렇게 대규모로 돈이 새 나가는 동안 롯데카드의 내부통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카드업계 관계자 : 크로스 체킹을 해서 고객들한테 혜택이 제대로 돌아간 건지 체크하는 그런 게 있었어야 되는데 제휴 담당자들이 그걸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이런 부분이 문제죠.)] 

사태 약 6개월 만에 카드업계가 자율 규제를 신설했습니다. 

앞으로 카드사는 제휴업체와 접촉하는 현업 부서 외에 제휴 업체를 선정하는 부서 그리고 이를 감시하는 부서를 따로 둬야 합니다. 

업체를 선정할 때는 건전성, 평판 등을 확인해야 하고 정상 영업여부도 주기적으로 직접 파악해야 합니다. 

이밖에 대표이사의 내부통제 책임을 명시한 내부통제기준과 내부고발자 보호 등을 위한 금융사고 예방지침도 함께 마련됩니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 : 횡령과 같은 금융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니까 내부통제 강화 TF를 운영하게 됐고 그 TF 결과로 해당 자율규제들이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업계에서는) 금융사고 방지에 도움이 될 거라 보고 있습니다.] 

다만 법적 강제성이 없는 자율규제인 만큼 실효성을 위해서는 카드사들의 실제 이행여부도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SBS Biz 류정현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