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덕산의 깨우침' 일본 전 총리, 역사적 과오 사과에 전남지사 '환영'

이창우 2022. 9. 24. 14: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4일 진도 '왜덕산 위령제'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추모사를 통해 일본의 역사적 과오를 공식 사과하고, 한·일 관계 개선을 기원한 것에 대해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이날 왜덕산에서 진도문화원 왜덕산보존회와 교토평화회 공동주최로 열린 위령제에서 추모사를 통해 "일본이 과거 조선을 침략해 고난의 역사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며 "사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때까지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공식 사과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 진도 왜덕산 위령제서 '무한책임' 언급
김영록 전남지사 "화해와 공존의 의미 되새기는 계기되길" 화답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24일 전남 진도군 고군면 왜덕산에서 열린 위령제에 참석해 제단에 헌향하고 있다. 왜덕산은 조선 백성들이 명량해전에서 전사한 일본 수군 시신을 수습해 묻어준 곳으로 '왜인들에게 덕을 베풀었다'해서 이름 붙여졌다. 2022.09.24. wisdom21@newsis.com


[무안=뉴시스] 이창우 기자 =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4일 진도 '왜덕산 위령제'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추모사를 통해 일본의 역사적 과오를 공식 사과하고, 한·일 관계 개선을 기원한 것에 대해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이날 왜덕산에서 진도문화원 왜덕산보존회와 교토평화회 공동주최로 열린 위령제에서 추모사를 통해 "일본이 과거 조선을 침략해 고난의 역사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며 "사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때까지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고 싶다"고 공식 사과했다.

또 "일본은 위안부, 조선인 강제 징용 문제 등에 대해 더 이상 논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며 일본의 '무한 책임'을 강조했다.

이어 "일본이 과거 전쟁을 일으키고 식민지화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지 말고 사죄해야 한다"며 "(임진·정유재란) 당시 진도 백성들이 숨진 일본 수군을 수습해 묻어준 역사적인 장소인 진도 왜덕산에서 용서와 화해를 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무안=뉴시스] 이창우 기자=미국을 순방 중인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24일(현지시간 23일) LA 옥스퍼드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2022~2023 전라남도 방문의 해' LA 전남 관광 설명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전남도 제공) 2022.09.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을 순방 중인 김영록 지사는 이에 대해 이날 즉시 환영 입장문을 통해 "하토야마 전 총리의 공식적인 사과를 계기로 일본은 과거 자국이 저지른 역사적 과오에 대해 진심으로 뉘우치고, 한·일 양국 간 화해와 공존의 분위기를 확대 조성하는 기회를 다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또 "지난 1998년 한·일 관계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해 한·일 양국이 화해와 공존의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지향적 평화와 협력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남도는 한·일 간 역사인식을 공유하고 한·일 평화 교류가 적극 추진되도록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진도=뉴시스] 변재훈 기자 = 24일 한·일 단체가 공동 주최하는 위령제가 열린 전남 진도군 고군면 왜덕산 내 일본수군 봉분. 왜덕산은 조선 백성들이 명량해전에서 전사한 일본 수군 시신을 수습해 묻어준 곳으로 '왜인들에게 덕을 베풀었다'해서 이름 붙여졌다. 2022.09.24. wisdom21@newsis.com

진도 왜덕산은 명량해전에서 목숨을 잃고 진도 고군면 오산으로 밀려온 왜군 시체를 주민들이 '시체는 적이 아니다'며 수습해 묻어준 곳이다. '왜인들에게 덕을 베풀었다'해서 왜덕산으로 이름을 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lcw@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