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도 아침마다 꼭 했던, 성공한 CEO들의 아침 습관

조회 1,4142025. 2. 26.

세계적 리더들의 아침 습관은 놀랍도록 다양하고 때론 예상을 벗어난다. 이들은 정해진 성공 공식을 따르기보다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살아간다. '성공'이란 정해진 공식이 아닌 자신만의 방식을 찾는 것부터가 아닐까?

ⓒwikipedia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스티브 잡스(애플 전 CEO)│ 오전 6시경 기상

짧은 질문 하나가 삶의 방향을 바로잡는다. 그는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오늘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오늘 하려는 일을 정말로 하고 싶을까?"라고 자문했다. 2005년 6월 12일 스탠포드 대학교 제114회 졸업식 연설에서 밝힌 내용으로 그의 인생 철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며칠 연속 “아니오”라는 답이 나오면 그는 과감히 변화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에 우선순위를 두고 정말 중요한 것에 집중하라는 의미다. 스탠포드 스타디움에 울려퍼진 이 메시지는 2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유튜브를 통해 여전히 전 세계 사람들을 향해 메아리치고 있다.

ⓒwikipedia

맛있는 음식을 먹고 짧게 사는 게 낫다
│일론 머스크(테슬라 CEO)│ 오전 7시경 기상

천재 기업인이자 괴짜,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아침은 30분간의 중요 이메일 처리로 시작된다.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각 팀이 일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파악하도록 지시하는 것. 특히 머스크는 바쁜 일정 속에서도 아침에 도넛을 즐겨 먹는다.

2023년 "설탕은 독"이라는 피터 디아만디스(Peter Diamandis)의 트윗에 "나는 매일 아침 도넛을 먹는다. 아직 살아있다"라고 반박한 것. 설탕 논쟁에서 머스크는 "시안화물과 비소가 독이지, 설탕은 먹을 수 있다"며 자신만의 식이 철학을 지켰다. 2020년 조 로건(Joe Rogan) 팟캐스트에서는 "맛있는 음식을 먹고 짧게 사는 것이 낫다"라고 말하기도.

ⓒwikipedia

어둠 속에서 리듬을
밥 아이거(디즈니 CEO)│ 오전 4시경 기상

2020년 마스터클래스 강의에서 밥 아이거(Robert Allen Iger)의 아침 루틴을 소개했다. 첫째로 그는 일어나 커피 한잔을 마신다. 그리고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어둠이 감싼 방으로 향한다. TV는 켜져 있지만 소리는 없다. 음악만이 공간을 채우는 가운데 아이거는 명상하듯 운동한다.

그는 이 시간을 "가장 창의적인 시간"이라 부른다. 고요한 새벽의 리듬 속에서 복잡한 생각들이 정리되고, 하루의 우선순위가 세워진다는 것. "매우 복잡한 회사를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운영하려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그의 철학이다. 어둠 속 고독한 명상과 운동이 디즈니 제국을 이끄는 창의적 에너지의 원천인 셈.

ⓒwikipedia

조용하고 여유로운 아침
제프 베조스(아마존 전 CEO)│ 오전 8시경 기상

2018년 9월 13일 워싱턴 DC의 이코노믹 클럽 행사에서 제프 베조스(Jeff Bezos)는 알람 시계 없이 일어난다고 밝혔다. 그는 서두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신문과 커피, 가족과의 아침 식사를 통해 아침을 연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전에 함께 아침을 먹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말하는 베조스에게 아침은 일상의 행복이다. 또한 휴식의 가치도 빼놓지 않는다. “하루 8시간 수면을 중요시한다”는 그의 말처럼 성공 비결은 역설적으로 서두르지 않는 여유에 있다.

ⓒwikipedia

완벽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듯 정교하게
하워드 슐츠(스타벅스 전 CEO)│ 오전 4시 30분경 기상

2012년 4월 13일 비즈니스위크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는 세 마리 반려견과의 산책으로 몸을 깨운다. 집으로 돌아온 뒤엔 운동을 하며, 오전 5시 45분이면 어김없이 보덤 프렌치 프레스에 숙성된 수마트라 원두를 넣고 커피를 내린다.

그는 "하루를 리드할 수 있는 고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오전 6시면 사무실에 도착해 세계 각지 스타벅스 매장의 보고서를 검토한다. "개인의 규율이 조직 문화의 원동력"이라 믿는 그의 경영 철학은 스타벅스 직원들에게 "파트너 정신"을 고취시키는 모델로 작용했다.

ㅣ 덴 매거진 Online 2025년
에디터 김진우(tmdrns1111@mcircle.biz)


Copyright © 저작권자 © 덴 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타임톡
타임톡이 제공되지 않아요

해당 콘텐츠뷰의 타임톡 서비스는
파트너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