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 공용? 서비스면적?..어려운 부동산용어 알아봅시다

아파트 매매, 주택 청약 등 실생활에서 한 번은 꼭 해야할 중요한 경제활동입니다.

그런데 부동산에서 쓰이는 용어들은 바로 이해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일단 아파트 면적 관련 용어들을 알아봅시다.

‘전용면적’이란?

실제로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고 서비스면적을 제외한 실 면적입니다.

현관, 거실, 방, 화장실, 주방 등 집의 소유자가 독자적으로 생활하고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의 합을 말하며 '실내공간'이라고 합니다.

특히 아파트 분양 시 기준이 되는 면적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공용면적’이란?

모두 함께 사용하는 공동 사용 시설을 말합니다.

‘주거공용면적’과 ‘기타공용면적’을 합한 것이라고도 보는데, 주거공용면적은 계단, 엘리베이터, 복도, 1층 현관 등이 있습니다.

기타공용면적은 지하주차장, 헬스장, 골프장, 노인정, 놀이터, 관리사무소 등의 아파트 거주자들이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이 있습니다.

‘서비스면적’은 쉽게 말해 발코니(베란다)를 말합니다. 거주자를 위하여 서비스로 제공하는 면적이며 평수(면적)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넓을수록 이득인 공간입니다.

입주시에 실거주 넓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

'공급면적'과 '계약면적'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주거공용면적을 뜻합니다.

‘계약면적’은 공급면적+기타공용면적을 뜻합니다. 계약면적이 넓을수록 넓은 면적,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니 좋겠죠?

같은 평형이어도 아파트에 따라선 조금 더 넓은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면적 관련 용어를 정확히 알고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