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가치·국익 기반 외교···윤석열 정부 2주년 외교 성과는?

2024. 4. 5. 11: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성욱 앵커>

윤석열 정부는 출범 후 2년간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을 하고, '보편적 가치와 국익에 기반한 외교'를 숨 가쁘게 펼쳐왔습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다양한 국가와의 외교를 통해 거둔 성과들을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국립외교원 강선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짚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강선주 / 국립외교원 교수)

박성욱 앵커>

이번 정부에서 거둔 외교적 성과 중 가장 큰 것을 꼽으라면 '한일관계의 개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2년만의 한일 정상 양자방문외교의 복원 등 그간 단절됐던 협력이 정상화되었죠?

박성욱 앵커>

이렇게 한일관계의 회복을 통해 불안정한 국제정세 속 한미일협력 구축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캠프 데이비드에서 처음으로 단독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리기도 했죠.

의미와 성과, 어떻게 정리해 볼 수 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윤석열 정부의 외교의 성격 중 가장 두드러지는 점이 바로 '국제적인 교류의 확대'일텐데요.

윤 대통령은 취임 후 한달 만에 한국 대통령 최초로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했고, 작년 7월에도 두 번째 회의에도 참석했죠?

또 올해 7월 열리는 정상회의서도 초청받았다고요?

박성욱 앵커>

또 미국 주도로 탄생한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고, 우리 정부 최초의 포괄적 지역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그 의미를 어떻게 보십니까?

박성욱 앵커>

한편으로는 작년 5월에 처음으로 제1차 한-태도국 정상회의를 개최했고, 오는 6월에 열리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유치 등 다변화된 외교를 시도해왔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국가와의 자리를 마련한 이유, 또 이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지요?

박성욱 앵커>

다음으로 경제적인 성과도 살펴보겠습니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하며 세일즈 외교를 펼쳤는데요.

아랍에미리트, 사우디 등 많은 중동 국가와의 만남을 통해 여러 사업의 수주를 얻어냈습니다.

대표적인 몇 가지 성과를 짚어주시죠.

박성욱 앵커>

특히 네덜란드와 우리나라의 가장 주요 산업 중 하나인 '반도체' 분야 협력과 동맹을 굳건히 했는데요.

어떤 방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로 했나요?

박성욱 앵커>

마지막으로 선진국으로서 대한민국이 개발 협력 분야에 기여하기 위한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ODA 규모를 역대 최대폭 확대해 대외전략과 연계한 지역별·분야별 전략을 수립했다고 하죠?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국립외교원 강선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