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지역 중소기업 채용 불균형 해소하려면 '단순생산직' 수급 늘려야

창원상공회의소 전경. /창원상의

창원지역 중소기업의 채용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단순생산직' 수급을 늘려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창원상공회의소는 21일 '창원지역 기업 인력 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은 지역 내 245개 기업이 참여했다.

먼저 창원지역 중소기업의 채용경향은 '경험'과 '경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채용시 고려사항'으로 '경력·경험·보유기술(66.4%)', '태도·성격(23.4%)'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전공·자격증(9%)', '학력(0.9%)'은 비중이 낮았다. 학력 중심으로 채용 후 인재를 육성하던 방식에서, 채용 즉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력을 찾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직과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이 한몫했다. 따라서 인재육성에 투자하려는 유인이 낮아진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 인력채용 시 '서류전형'과 '실무자면접' 등 비교적 간소한 과정만을 거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보고서는 "결국 생산성 확보가 쉽도록 경험, 경력 중심의 인재를 기존 중소기업의 자원이 아닌,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의 실무 중심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육성하는 방안이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중소기업 구인·구직 불균형 주 원인은 '기업 급여·복지 수준 등 보상체계 정보 빈약'과 '직무능력 파악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인력채용이 어려운 이유'로 기업들은 '지원자 부족(29.9%)', '낮은 급여와 복지(28.3%)'을 들었다.

따라서 보고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우선 기업이 필요로하는 직무·자격과 이에 대한 보상체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업과 대학 간의 지속성 있는 공유채널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창원지역 중소기업이 가장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직종은 기술·기능직과 단순생산직이다. 기술·기능직은 인재풀 자체가 적고, 추가공급이 적게 이뤄지고 있어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않고 단순생산직은 지원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인력이 부족한 직종'은 '기술·기능직(49.8%)', '단순생산직(38.4%)'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 제안과 더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으로 단순생산직에서 경험과 자격을 갖춰 기술기능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소기업 인력 육성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뚜렷한 단순생산직은 외국인노동자의 수급을 적법한 시장체제 중심으로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외국인유학생의 고용특례제도 도입과 특정활동비자(E-7)의 제조업 생산직 허용 등은 중소기업의 고질적 애로 요인인 생산직종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지산 기자

#경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