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미서 인기 치솟고 있다는 인물들, 알고 보니...

조회수 2023. 12. 27. 11: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서울의 봄'이 2023년 북미에서 개봉한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사진제공=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서울의 봄', 북미 100만달러 돌파...한인 2세 관객 관심 확산

1000만 관객 돌파, 2023년 박스오피스 전체 1위 달성 등 식을 줄 모르는 열기를 이어가고 있는 김성수 감독의 영화 '서울의 봄'이 북미에서도 또 다른 기록을 달성했다.

11월 말 북미에서 순차적으로 개봉한 '서울의 봄'(제작 하이브미디어코프)은 12월1일부터 12월28일까지 4주간 매출 100만달러(한화 12억9500만원)를 돌파했다. 이는 앞서 6주간 91만달러(한화 11억7545만원)의 매출을 올린 '범죄도시3'를 뛰어넘은 성적으로 2023년 북미 개봉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1위의 기록이다.

'서울의 봄'의 100만달러 돌파는 지난해 개봉한 '범죄도시2' 이후 1년 만에 한국영화가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 흥행 기록이다. 영화를 향한 북미 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실감케 한다.

'서울의 봄'은 북미 최대 명절인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 연휴가 있는 11월 말부터 12월 말까지 10편이 넘는 할리우드 대작들 사이에서 경쟁해야 하는 조건 속에서 개봉했다.

LA 지역 3개의 상영관에서 시작해 점차 입소문을 타고 상영관 수가 증가해 현재 50개가 넘는 상영관에서 북미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이는 북미에서 개봉한 한국영화 가운데 손에 꼽히는 대규모 개봉이다.

이에 따라 북미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배급사인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는 "특히 1980년대를 살아온 40대~60대 관객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서울의 봄'에 대한 북미 현지인들의 관심은 한국의 근현대사를 알고자 하는 한인 1.5세에서 2세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영화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이 이어지며 미네소타, 앨라배마 등 한인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도 극장이나 배급사에 '서울의 봄' 상영 문의 및 극장 통대관 요청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봄'의 북미 개봉을 결정한 현지 배급사 815픽쳐스(PICTURES)는 "14년간 북미에서 수많은 한국 영화를 배급했지만 '서울의 봄'은 아마 영원히 잊지 못하는 작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영화는 1979년 12월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다.

김성수 감독의 긴장감 넘치는 연출력과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등 배우들의 호연이 더해져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흥행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