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세 남진, 여전히 ‘오빠’로 불리는 이유는? 데뷔 60주년 투어로 증명하다

“이제 가수 생활을 한 6년 한 것 같은데, 벌써 60년이 됐네요. 세월이 그리 갈 줄 몰랐습니다. 하하.” 올해로 데뷔 60주년을 맞은 가수 남진(80)의 소회입니다. 1965년 ‘서울 플레이보이’로 데뷔한 그는 ‘울려고 내가 왔나’, ‘가슴 아프게’, ‘님과 함께’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기며 1960∼70년대 무대와 스크린을 오가는 톱스타로 군림했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신곡을 발표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이어왔습니다.

남진은 지난 15일 전북 전주 삼성문화회관을 시작으로 광명, 광주, 제주, 세종 등을 도는 60주년 전국 투어에 돌입했습니다. 최근 서울 서초구의 한 카페에서 콘서트 연습에 한창인 그를 만났습니다. 그는 “팬들도 어린 시절이 그리울 텐데, 나를 ‘오빠’라고 부르면서 그분들도 젊어지는 기분이 들 것”이라며 “그 덕분에 나도 ‘오빠’로 존재할 수 있다. ‘오빠’ 함성을 들으면 20대 그 시절로 돌아가는 듯하다”고 연륜이 묻어나는 소회를 밝혔습니다.

남진은 우연한 계기로 가수가 됐습니다. 대학 진학 후 서울 우이동의 한 클럽에 놀러 갔다가 팝송을 불렀는데, 이를 들은 클럽의 밴드 마스터가 ‘노래 한번 해 보지 않겠느냐’고 제안하며 작곡가 한동훈에게 연결해줬습니다. 그는 한동훈의 문하생으로 노래를 배워 1965년 ‘서울 플레이보이’로 데뷔했습니다.

남진이 내놓은 트로트 히트곡이 많다 보니 으레 그를 전통가요 가수로 바라보는 시선이 많지만, 그가 애초에 관심을 둔 장르는 팝이었습니다. 당장 데뷔곡 ‘서울 플레이보이’도 세련된 팝 사운드의 노래입니다. 남진은 “가수가 되려면 가요를 잘 불러야 했겠지만, 나는 어린 시절 가요는 잘 몰랐다”며 “당시에는 미8군을 중심으로 한 팝송이 크게 유행했다. 나도 학창 시절 교탁에 올라가 팝송을 부르곤 했다”고 회고했습니다.

그는 “나는 트로트에 한정된 가수가 아니다”라며 “내 음악의 근간은 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그는 1970년대 초반 ‘님과 함께’로 트로트 가수로서의 입지를 굳힌 후에도 ‘마음이 고와야지’, ‘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발표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혔습니다.

남진은 데뷔 초부터 나훈아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는 나훈아에 대해 “큰 힘이 된 존재”라며 “서로 경쟁하면서도 존중했다”고 회상했습니다. 또한 이미자에 대해서는 “진정한 국민가수”라며 “그의 노래는 언제 들어도 감동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남진은 “노래를 못한다면 내 인생을 버리는 것과 같다”며 “앞으로도 무대에서 팬들과 함께할 것”이라는 다짐을 밝혔습니다. 그의 60주년 전국 투어는 팬들에게는 추억을, 젊은 세대에게는 새로운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