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기대감에 일제히 빨간불 켜진 시장 f. IBK투자증권 박근형 부장

조회수 2024. 5. 17. 08:3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시장 동향
코스피는 39.93포인트 상승하며 2,770포인트로 출발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강하게 작용했으며, 반도체, 2차 전지, 증권, 은행, 보험, 자동차 등 다양한 업종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의 4월 CPI와 소매 판매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 주식들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TSMC, 마이크론,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AI 효과와 감산 효과로 인해 EPS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칩의 EPS 반등이 가파르게 시작되고 있으며, 공급 부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특히, HBM의 수요 증가와 AI 서버 출하량 증가로 인해 공급이 부족한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AI 관련 기업들의 언급 비율이 41%까지 증가하면서 AI 시장의 확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골드만 삭스는 AI 관련 주식의 상승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AI 강세가 반도체 업종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제약 바이오 섹터에서도 중국 바이오 기업과의 거래 금지 법안 통과로 인해 국내 바이오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금리 인하 기대감도 이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클래시스는 1분기 소모품 매출 비중이 52.7%를 달성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고, 제이시스메디칼도 좋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의 VBP 정책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9% 증가했으며, 미국과 네덜란드에서도 높은 수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면서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광 모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의 시장 점유율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최근 글로벌 전력 수요 증가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해 전력 설비 관련 주식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 전력 기기 업체들은 향후 3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의 전력 소비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앞지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업계에서는 중국 경기 회복과 수출 다변화로 인해 한국 화장품 제조업체들이 좋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손해 보험 업계도 제도 변경으로 인한 비용 환입으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업종 동향
반도체와 금융주 강세

오늘 코스피는 39.93포인트 상승하며 2,770포인트로 출발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강하게 작용하며 반도체, 2차 전지, 금융주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주목받았고, 삼성전자와 KB금융도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미국의 4월 CPI와 소매 판매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졌고, 이는 기술주와 반도체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증권사들은 미국의 물가 둔화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SK하이닉스, 삼성전자, KB금융,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하나금융지주 등이 주요 상승 종목으로 언급되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은 AI와 HBM 수요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제약 바이오와 AI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였으며, 알테오젠과 HPSP가 주목받았습니다.

AI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급성장
최근 AI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TSMC, 마이크론, SK하이닉스 등의 기업들이 감산 효과와 AI 수요 증가로 인해 EPS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메모리 칩의 EPS 반등이 가파르게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국내 주식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와 AI 서버 출하량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증권사들은 이러한 상황을 긍정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SK증권은 AI 강세가 HBM과 커머더티 업종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TSMC, 마이크론, SK하이닉스, 엔비디아 등이 언급되었습니다. 또한, 골드만 삭스는 AI 관련 언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AI 도입이 4단계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내 미용 및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세
국내 미용 및 의료기기 산업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클래시스는 1분기 소모품 매출 비중이 52.7%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7.5% 증가한 45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제이시스메디칼과 원택도 각각 18.2%와 9.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좋은 실적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국내 주식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클래시스는 PER 30배를 기록하며 대장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이러한 성장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다올투자증권은 클래시스, 제이시스메디칼, 원택의 실적을 주목하며, 이들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특히 클래시스는 브라질에서의 프로모션과 현지 의료진 심포지엄 개최로 인해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이시스메기칼은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로 인해 실적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력 수요 증가와 국내 전력 기기 산업의 성장
최근 글로벌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전력 기기 업체들이 호황을 맞고 있습니다.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 일렉트릭 등 주요 기업들은 올해 1분기 수요 잔고가 전년 동기 대비 34.7% 증가한 13조 6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력 시장의 강세 사이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글로벌 전력망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전력 기기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관련 주식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AI와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가 미국의 전력 소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버지니아 주의 데이터 센터 성장이 전력 소비를 크게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향후 10년간 미국의 전력 수요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KBI메탈, 대한전선, LS, 서남, 제일일렉트릭, LS ELECTRIC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의 주가는 전력 수요 증가와 함께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