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은 같은데' 대전 산내 추모공원 지지부진… 경남 거창사건과 대조
15일 대전시NGO센터·인권연대 거창 역사탐방
1951년 주민 719명 학살사건 추모·역사관 관람
대전 산내 평화공원 계획 타당성조사서 지연
대전 산내에 정부가 약속한 6.25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사건 평화공원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앞서 조성된 경남 거창사건 추모공원에서 대전시민들이 역사탐방을 벌였다. 대전시NGO센터는 대전충남인권연대 회원 30여 명과 함께 경남 거창군 일대에서 1951년 발생한 양민학살 사건 현장을 찾아 견학했다. 거창사건은 6.25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경남 거창군 신원면에서 국군이 공비토벌 과정에서 주민 719명을 집단학살한 사건이다. 두 달 뒤 거창 출신 신중목 의원이 부산 임시국회 본회의장에서 국군에 의한 양민 학살사건을 공개하면서 국회합동조사단이 꾸려지고 국내 및 외신에 보도되면서, 당시 민간인 희생사건 중 처음으로 군법회의에서 국군의 위법행위를 판결로 인정받았다. 산청과 함양에서 먼저 발생해 산청.함양.거창 사건이라고도 부른다.
이날 역사투어는 지리산과 덕유산에 둘러싸인 지형의 거창읍에서 11사단 9연대 주에서 민간인학살에 앞장선 3대대의 부대 이동 경로를 쫓아 '함께하는거창' 신용균 대표의 안내 속에 청연마을과 탄량골, 박산골 순으로 이뤄졌다. 6개 마을 84명의 주민이 학살된 청연마을 희생자 묘역에는 두 돌 지나지 않은 아이부터 초등학교 입학 앞뒀을 나이의 어린이 묘비가 말없이 추모객을 맞았다. 이어 방문한 옛 신원국민학교와 이곳으로부터 500m 떨어진 박산골은 주민 1000여 명을 밤사이 감금하고 다음 날 아침 주민 517명에 대한 학살이 이뤄진 곳으로 박산골짜기 바위는 총탄에 맞아 움푹 팬 모습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때 희생된 이들을 합장한 박산합동묘역에 유족들이 1960년 세운 위령비를 군사정권이 들어서자 1961년 경찰이 지켜보는 가운데 유족들의 손으로 글귀를 훼손하고 땅속에 다시 묻었다가 1988년에서야 다시 꺼낸 역사를 그때 훼손된 위령비를 뉘어 전시함으로써 재현했다.
특히, 거창사건 추모공원과 역사교육관은 대전 골령골에 정부가 마련하기로 한 산내평화공원의 롤모델이 되는 곳으로 1998년 '거창사건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조치법' 제정을 근거로 2000년 10월 착공해 2004년 개관할 수 있었다. 2020년 전면 리모델링으로 재개관한 '역사교육관'은 왜곡된 기억을 바로잡고 은폐와 폭로 과정을 소상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전시물이 구성되었다. 전국에서 벌어진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사건의 전국단위 위령시설을 구상하는 산내 평화공원은 토지보상만 최근 완료했을 뿐, 기획재정부의 사업타당성 재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전숙자 대전산내사건 희생자유족회장은 "가장 많은 민간인 희생자를 낳은 사건임에도 거창사건처럼 명예를 회복하고 진상조사할 특별법 제정이 산내사건에서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라고 지적하고 "그 중에서 대전형무소 희생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이 서둘러 이뤄지고 위령시설 다른 지역 사례에 대한 견학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경남 거창=임병안 기자 victorylba@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