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노인일자리, 용돈벌이 그쳐…월평균 21만원 번다

정광윤 기자 2024. 10. 8. 18:1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고령화와 노인빈곤의 해법으로 정부가 노인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면서 일하는 어르신은 늘고 있습니다만, 버는 돈은 20만 원 선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르신 용돈벌이'를 넘어 일자리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광윤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청년지원센터'가 있던 자리, 넉 달 전 '어르신카페'가 들어섰습니다. 

커피를 내리는 건 예순 넘은 바리스타들입니다. 

[김 모 씨 (64세) / 시니어카페 바리스타 : 아직은 젊은 나이라고 생각하니까 적어도 70세까지 일을 해야 되지 않나. (일을) 나눠주다 보니까 근무시간이 길지가 않아요. 6시간씩 일주일에 두 번이거든요. 그래서 큰돈은 되진 않고.]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재작년 약 97만 명으로, 6년 만에 두 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질 낮은 일자리'라며 줄이겠다던 현 정부도 "대폭 늘리겠다"는 쪽으로 선회했습니다. 

하지만 노인일자리로 버는 돈은 월평균 21만 원에 불과합니다. 

보건복지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 대상인 '공공형'은 월 20만 원이 채 안 됐습니다. 

민간업체와의 연계형은 28만 원대, 그나마 교육·경력 등을 필요로 하는 '사회서비스형'이 37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더 벌고 싶어도 일할 수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인데, 전체 4분의 3을 차지하는 공공형은 하루 3시간 이내, 월 30시간 수준이고, 사회서비스형도 제한이 있습니다. 

결국 일거리를 쪼개 숫자만 늘린 셈인데 이럴 때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서미화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입니다. 노인일자리가 단순히 용돈벌이가 아니라 노후 소득을 보장하고 사회 안전망으로서 기능해야 합니다.] 

KDI 연구진은 "미국·일본 등은 노인일자리 목표가 질적 향상으로 바뀌었다"며 "공공 일자리에서 머물게 아니라 교육과 인센티브를 통해 민간 일자리로 옮길 수 있도록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SBS Biz 정광윤입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