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 술 아니다" 2030 취향 저격…소주보다 더 팔렸다

양지윤 2023. 3. 19. 13: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위스키 열풍을 타고 양주의 매출이 소주의 아성을 넘어섰다.

MZ(밀레니얼+Z세대) 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가 인기를 끌면서 한때 '아재 술'로 취급됐던 양주가 '국민 술' 소주보다 더 많이 팔린 것이다.

이마트는 올해 1~2월 위스키·브랜디·럼 등 양주 매출이 소주보다 3.6% 더 높았다고 19일 발표했다.

2021년까지만 해도 양주 매출의 비중은 소주 매출의 81.3% 수준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들어 95.8%로 오르더니 올해는 103.6%로 소주를 넘어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양주 코너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위스키 열풍을 타고 양주의 매출이 소주의 아성을 넘어섰다. MZ(밀레니얼+Z세대) 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가 인기를 끌면서 한때 '아재 술'로 취급됐던 양주가 '국민 술' 소주보다 더 많이 팔린 것이다.

이마트는 올해 1~2월 위스키·브랜디·럼 등 양주 매출이 소주보다 3.6% 더 높았다고 19일 발표했다. 2021년까지만 해도 양주 매출의 비중은 소주 매출의 81.3% 수준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들어 95.8%로 오르더니 올해는 103.6%로 소주를 넘어섰다. 반면 수입 맥주 비중은 2021년 77.1%, 2022년 66.7%에 이어 올해 58.9%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양주 매출은 지난해 20.2% 증가했고 올들어 2월까지도 9.2% 늘어났다. 반면 소주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 13.1%, 올해 1%를 기록하며 양주의 증가세에 미치지 못했다.

이 같은 흐름은 2030 세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의 위스키 구매 고객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30대 이하가 39.4%로 가장 많았고, 40대는 24.3%, 50대는 17.4%, 60대는 6.6% 순이었다.

위스키를 탄산수 등에 섞어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면서 관련 상품 매출도 함께 늘었다. 지난해 이마트의 소주잔 매출이 31.8% 줄어든 반면 위스키 전용 잔의 매출은 340% 늘었다. 토닉워터 등 탄산 믹서도 그 매출이 63.8% 늘었고, 레몬도 16.4% 더 팔렸다.

이마트 주류 바이어는 "커지고 있는 홈술, 혼술 트렌드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주종이 양주"라며 "이제는 과거처럼 독주 이미지가 아니라 취향에 따라 즐길 수 있는 술로 자리 잡으면서 꾸준히 수요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