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공포 드디어 끝나나 “현대차 또 큰 일 해냈다”… 신기술 개발에 전기차 시장 들썩

조회 76,5072025. 4. 15.
셀 단위 화재 자동 진압 기술
열폭주 ‘원천 차단’
글로벌 기준 넘는 안전성 확보
출처: 현대자동차 (아이오닉9)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를 원천적으로 막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4월 14일 밝혔다. 배터리 셀 단위로 화재를 즉시 진압해, 대형 전기차 시대의 핵심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모비스가 선보인 이번 기술은 배터리 셀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이 인접 셀로 번지기 전 소화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해 열폭주를 막는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열과 화염을 지연시키는 수준의 방어체계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이를 넘어, 아예 발화를 원천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기술 수준을 끌어올렸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번에 개발된 배터리시스템 ‘BSA(Battery Safety Assembly)’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화장치, 배터리케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이 통합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작동한다.

특히 BMS는 실시간으로 배터리의 온도·전압·내부 압력 데이터를 분석해 위험 징후를 감지하고, 발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뒤 해당 부위에 소화약제를 분사하도록 지시한다. 이 과정은 자동으로, 수 초 내에 이뤄진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아직 상용화된 바 없는 독자적 수준의 시스템”이라며 “열폭주 발생 자체를 차단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과 확연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소화약제는 단순 냉각이 아닌 절연성과 침투성까지 고려된 특수 물질이다. 용량은 일반 가정용 소화기(3.3kg)의 5배 수준에 이르며, 배터리 셀 깊숙한 곳까지 빠르게 침투해 화염을 진압한다.

출처: 현대모비스

이 기술의 또 다른 핵심은 제어 소프트웨어다. BSA는 다중 안전장치와 이중화된 알고리즘 구조를 통해 시스템 이상 시에도 오류 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개발로 현대모비스는 배터리케이스 설계와 소화장치 기술 등을 포함해 총 3건의 국내외 특허도 출원한 상태다.

이번 기술은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국가들이 전기차 배터리 발화 후 최소 5분 이상 열폭주를 지연시킬 것을 의무화한 국제 규제 흐름을 고려한 대응책이기도 하다.

일부 국가는 아예 열이 인접 셀로 전달되지 않도록 ‘열전이 자체 금지’로 법규를 강화하는 추세다. 현대모비스의 이번 기술은 이러한 규제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다.

출처: 현대모비스

업계는 셀 단위로 화재를 제어하는 기술이 앞으로 글로벌 전기차 안전 규제의 표준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전기차 부품 시장에서 기술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전기차 대중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불 안 나는 배터리’는 시장의 새로운 신뢰 기준이 되고 있다. 이번 현대모비스의 기술은 단순한 안전 장치 그 이상, 미래 전기차의 표준이 될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