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 여부 등 향후 계획안 하루빨리 내놔야 해

전북지역의 건강한 제조업 생태계를 위해 혁신적 창작활동의 공간 역할을 해온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향후 운영안 마련이 더는 늦어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전북지역의 건강한 제조업 생태계를 위해 혁신적 창작활동의 공간 역할을 해온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향후 운영안 마련이 더는 늦어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공모사업에 따라 구축·운영됐지만, 올해 말 종료되는 만큼 운영 여부는 물론, 관련 장비의 활용 방안 등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 늦어질 경우 후속사업 대응의 시기를 놓칠 수도 있는 데다 자칫 방향성을 잃은 공간이 될 우려도 더해진 것.

10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메이커 스페이스는 전문창작활동 및 창업인프라 연계 사업화를 지원하는 전문랩으로, 지난 2020년부터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주관해 경제통상진흥원이 기업지원과 국내·외 마케팅 전문기관으로 참여해 왔다.

위치는 전주시 기린대로 458(구 일양병원)로, 건물은 경진원 소유다. 올해 말까지 국비 36억5,000만원을 포함 총 73억6,000억원이 투입된다.

구축된 장비는 3D가공기, 자동재단기, 가열프레스, FARO EDGE SCANARM HD, HP 580 MJF 3D프린터 등 45종 79대이며, 그동안 전문메이커 육성, ‘뚝딱365’ 네트워킹 운영, 전문가 기술 컨설팅, 전북시제품제작소 지원 등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사업기간이 올해 말까지로, 현재 중기부에서는 이 사업을 일몰하는 대신 이를 대처할 수 있는 후속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전북자치도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의 유지 여부부터 신속히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만약, 이대로 유지한다면 중기부의 후속 사업에 대응하고 신규사업을 발굴해 운영에 필요한 국비를 확보에 나서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새로운 계획안과 함께 지금까지 구축한 장비의 이전 및 활용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전문장비 활용에 대한 기업의 수요가 여전한 만큼 이에 대한 해결 방안도 요구될 수밖에 없다.

특히, 큰 틀에서는 경진원의 향후 운영 방향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는 사안이기도 하다. 단순히 공간 활용의 문제가 아니기에 상황이 복잡한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더 늦어질 경우 후속사업 확보에 대응할 시기를 놓칠 수 있으며, 방향성을 잃은 공간으로 전락할 수 있는 만큼 하루빨리 운영 방향이 마련돼야 한다는 게 지역 산업계의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산업 환경이 빠르게 변하면서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정부의 운영 방향이 달라진 만큼 일찌감치 대응, 적어도 운영 여부에 대한 판단은 이미 했어야 했다며 제조기업 등 산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해 방침을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메이커스페이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것과 이를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고심하고 있다”며 “경진원은 물론 경제 관련 기관들과도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고 고심해 향후 계획안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아 기자
#전북 #메이커 #메이커 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