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급급 자동차업체..열선시트도 매달 구독해야 한다고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 뜨거운 화두는 구독 경제 상품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가속화하고 전동화에 따른 투자비가 커지면서 미래 수익성 확보를 위해 새판을 짜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가 구독 상품을 플랫폼에 탑재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업체에서 구독 경제를 본격화한 회사는 테슬라다. 테슬라는 지난해 미국 현지에서 자율주행 기능(FSD)을 월 구독형 상품으로 내놨다. 1만2000달러를 내면 평생 구독이 가능하지만 월간 199달러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현대차도 블루링크 서비스를 구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차의 경우 5년간 무료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월 사용료를 내야한다.
최근 BMW와 벤츠도 구독 상품에 열을 올린다. 특이하게 소프트웨어 관련 상품이 아닌 하드웨어와 관련된 상품이라 눈길을 끈다. BMW코리아는 지난달 홈페이지에 열선 시트 기능을 월 2만4000원, 오토하이빔 기능 월 1만1000원으로 공지했다. 소비자의 반발이 거세지자 BMW는 부랴부랴 사이트를 수정하고 “해당 기능 구독화는 국내가 아닌 유럽에만 적용된다”고 해명했다.
열선 시트 항목은 홈페이지에서 삭제됐지만 어댑티브 M 서스펜션, 오토 하이빔, 블랙박스 기능은 여전히 남아있다. BMW코리아 측은 “신차에 구독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은 열선시트와 같은 기본 편의장비를 구독으로 판매할 경우 BMW가 잃는 것이 더 많을 수도 있다고 분석한다.
벤츠는 플래그십 전기차 EQS를 출시하면서 후륜 바퀴가 조향되는 리어 액슬 스티어링 기능에 구독 경제를 접목했다. 기본 4.5도 조향이 가능하지만 10도까지 활성화하려면 월 199달러를 내야 한다. 아직 국내 시장에서는 이런 구독 상품을 판매하지 않지만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국내 시장에서도 곧 해당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들은 "해당 기능이 이미 차량에 탑재된 상황에서 활성화를 위해 월 구독료를 내야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국내 기업이 이를 따라할까봐 겁난다"는 우려 섞인 댓글까지 나온다.
국내에는 자동차 뿐만 아니라 음악 스트리밍, OTT 등 다양한 콘텐츠 구독 서비스가 자리를 잡았다. 이제 소비자들은 새로운 콘텐츠가 매일 올라오는 구독 서비스에는 큰 거부감이 없다. 문제는 하드웨어 관련 상품 구독은 아직 거부감이 크다는 것. 전동화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자동차 업체는 새로운 수익원 발굴이 과제다. 소비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구독 상품 출시가 절실해 보인다.
유호빈 에디터 hb.yoo@carguy.kr
Copyright © 카가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