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인터넷 ‘원스톱전환’ 이용률 15%…방통위, 대리점 인센티브 올린다

조회 672023. 7. 19.
정부과천청사 방송통신위원회 현판. (사진=블로터DB)

유선 결합상품 해지와 신규 가입을 한번에 처리해주는 ‘원스톱전환서비스’의 이용률이 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인력을 확대하고 인센티브를 인상하는 등 활성화 대책 마련에 나섰다.

방통위는 19일 초고속인터넷과 유료방송(IPTV, 위성방송)이 결합된 상품의 원스톱전환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시장점검 회의를 실시한 결과 한 해 발생하는 약 200만건의 결합상품 해지 중 약 30만건(15%)만 원스톱전환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나머지 170만건(85%)은 여전히 기존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스톱전환서비스란 초고속인터넷과 유료방송 결합상품서비스 이용자가 사업자를 변경하고자 할 때 기존사업자에게 별도의 해지 신청을 하지 않고 신규사업자에게 서비스 전환 신청만 하면 해지와 개통을 한 번에 처리해 주는 서비스다.

원스톱전환서비스는 지난 2020년 7월 유선통신분야 결합상품 해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지 거부나 지연 또는 제한 등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4사(SKT, KT, LGU+, SKB)와 위성방송사(KT스카이라이프)에 도입됐다. 2022년 8월에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LG헬로비전, 딜라이브, 현대HCN, CMB)까지 확대 시행됐다. 방통위는 서비스 전면 시행 1주년을 맞이해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번 시장점검 회의에서는 원스톱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고객센터 상담원의 접수 수수료 인상 △영업 대리점 원스톱전환 인센티브 인상 △고객센터 전문상담 인력 증원 및 상담원 교육 확대 △대리점에서도 접수할 수 있도록 접수창구 확대 시행 등이 논의됐다.

김효재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은 “이용자가 통신사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입된 원스톱전환서비스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사업자들이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