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 공증까지 받았는데.. 원하는 자식에게 제대로 상속 못한 이유
유언- 공증 - 유언대용신탁 3파전 대해부
전문가와 짧은 문답으로 최근 재테크 트렌드를 알아 보는 ‘머니 머니’. 오늘은 유언과 유언 공증, 유언대용신탁 등 세 가지 상속 방식을 비교분석했다. 내게 가장 적합한 상속 준비 방식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독자들을 위한 컨텐츠다. 상속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하나은행 리빙트러스트센터의 김하정 센터장이에게 자문했다.
지난달 초,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중산층의 상속 경험과 계획’ 보고서를 보면 중산층이 가장 선호하는 상속 방식은 유언과 공증이었다. 자필 유언장은 간편하기는 하지만, ‘마지막’ 유언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도 많다 보니 공증을 대안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은행·증권사의 유언대용신탁이 주목받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2020년 말 8800억원에서 올 2분기 말 3조5000억원으로 4년도 안 돼 4배 가깝게 불었다. 최근 금융사들은 “꼭 자산가가 아니어도, 집 한 채만 있어도 신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광고를 하고 있다. 그래서 수수료를 잘 알아 보고 선택해야 한다.
다만 신탁 수수료가 걱정이다. 금융사는 생전에 재산을 관리해주다 사후엔 설계해둔 대로 이를 배분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대가로 계약보수와 집행보수, 관리보수 등 수수료를 받기 때문이다. 유언대용신탁이 ‘금융사들의 돈벌이 수단’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생긴 이유다.
/김은정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