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늬를 펄펄 날게 만든 장태유 감독의 전략적 선택('밤에 피는 꽃')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대본이다. 매력적인 캐릭터와 흥미진진한 사건전개가 펼쳐지는 그 밑그림이 분명하게 그려져야 그 위에 연출이든 연기든 힘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흔히들 드라마는 '작가 놀음'이라고 말하곤 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작가만큼 중요해진 건 연출자의 몫이다. 그건 최근작들이 멜로면 멜로, 액션이면 액션, 사극이면 사극처럼 분명한 한 장르에 머물기보다는 그 장르들이 복합적으로 뒤섞이는 경향을 띠기 때문이다. 이때 필요한 건 다양한 장르들이 튀지 않게 조율하며 전체 드라마의 톤을 맞춰내는 일이다.
무려 18.4%(닐슨 코리아)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종영한 MBC 금토드라마 <밤에 피는 꽃>은 그 다양한 장르들의 겹침이 많은 작품이다. 낮과 밤이 다른 수절과부 조여화(이하늬)라는 인물의 설정 자체가 그렇다. 낮에는 과부로서 수절하며 살아가는 열녀의 길이 강요되는 삶을 살아가지만, 밤이 되면 복면을 하고 담을 넘어 저잣거리로 나와 홍길동 같은 의적 활동을 벌이는 인물이다. 낮이 보수적인 조선 사회를 담은 고전 사극의 장르적 색깔을 갖는다면 밤은 그 사극의 틀을 깨는 액션과 활극이 펼쳐지는 히어로물의 색깔이 펼쳐진다.
또 수절과부의 이 이중적인 생활은 이 인물에게 벌어진 비극적인 과거의 사건과 연결되면서 그 진실을 찾아나가는 추리극의 성격을 띠고, 그 사건은 선대왕의 의문사와 연결되어 있어 시아버지 석지성(김상중)과 왕 이소(허정도) 사이에서 벌어지는 정치극의 색깔도 갖고 있다. 물론 사건을 수사하면서 금위영 종사관 박수호(이종원)와 조여화가 엮어지는 멜로도 빠지지 않는다. 박윤학(이기우)과 연선(박세현)의 서브 멜로도 빼놓을 수 없다.
그래서 사극의 톤에 현대극적인 히어로물의 색깔을 얹고 그 안에 코미디와 멜로를 풀어가면서 추리극과 정치극까지 엮어내는 작업은 결코 쉬울 수 없다. 만일 제대로 엮어지지 않으면 작품은 이도 저도 아닌 지리멸렬한 지경에 이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 모든 구슬들을 하나로 꿰어 일관된 톤을 만들어내는 것이 작품의 관건이 되는 이유다.
최근 필자와 만난 자리에서 이 드라마를 만든 장태유 감독은 그 중심을 잡아주는 톤이 중요했다며 "코미디와 액션"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사실 수절과부이고, 그렇게 된 것 역시 석지성이라는 인물의 무서운 계략 때문이었다는 걸 생각해보면 <밤에 피는 꽃>의 색깔을 무겁고 어두울 수 있었다. 하지만 장태유 감독은 끝내 풀어지는 사건의 결말만이 아니라 그 과정도 충분히 즐겁고 재미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실제로 드라마는 그래서 여러 코미디적 상황들이 전체 서사의 줄거리들 사이에 꽉 채워져 있었는데, 이를테면 조여화가 시어머니 유금옥(김미경)에 의해 가마에서 내리는 법을 반복해서 연습하는 대목이 그렇다. 과거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던 그 장면은 진지한 시어머니의 면면을 놓치지 않는 김미경의 연기와 이를 코믹하게 풀어내는 이하늬의 연기 톤이 마주하면서 생겨나는 부조화로 빵빵 터지는 웃음을 만들었다.
또 호판 염흥집(김형묵)이 애지중지하던 산중백호도는 드라마 속 사건들 중 중요한 단서로 등장하는데, 조여화가 그 그림을 우스꽝스런 그림으로 바꿔치기하는 장면이 코미디로 그려졌다. 그런데 장태유 감독은 그 바꿔치기한 그림의 우스운 톤을 살려내기 위해 직접 그 그림을 며칠에 걸쳐 그렸다고 한다. 장 감독이 이번 작품에서 얼마나 코미디에 진심이었는가를 잘 드러내는 대목이다.
장태유 감독이 깔아 놓은 드라마 전체의 이 톤 위에서 이하늬는 펄펄 날았다. 장 감독 역시 자신이 바랐던 코미디와 액션의 톤을 이하늬가 제대로 소화해냄으로써 작품의 색깔이 완성됐다고 했다. 이하늬가 중심을 잡아주면서 드라마의 다양한 결들이 그 주변 인물들의 색깔에 따라 펼쳐질 수 있었다. 이를테면 석지성 앞에서는 추리물과 정치극의 색깔이, 박수호 앞에서는 짝패 액션과 더불어 달달한 멜로의 색깔이 그려졌고, 다양한 주변인물들 이를테면 연선과 봉말댁(남미정), 비찬(정용주)과 황치달(김광규) 같은 인물들의 자잘한 코미디 상황극들이 채워졌다.
<밤에 피는 꽃>의 성공은 그래서 좋은 대본과 연기자들의 호연과 더불어 장태유 감독의 전체 작품의 톤을 맞춰낸 균형잡힌 연출이 더해진 결과였다. 그리고 더더욱 복합적인 장르들이 많아지는 현 추세에 이러한 감독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어떤 톤으로 중심을 잡느냐가 성패를 가르는 관건이 되는 시대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억쯤은 손쉽게 태우는 재벌 플렉스, 그런데 왜 톡 쏘는 맛이 덜할까(‘재벌×형사’) - 엔터미디
- 최우식, 손석구, 이희준의 결이 다른 미친 연기만으로도(‘살인자o난감’) - 엔터미디어
- 원작이 원래 막장이라는 건 ‘내남결’ 제작진의 핑계에 불과하다 - 엔터미디어
- ‘내남결’을 끝까지 살린 이이경과 송하윤의 원작을 뛰어넘는 악역 연기 - 엔터미디어
- 꼭 내 이야기 같아서, 박신혜와 박형식을 더 응원하게 된다(‘닥터 슬럼프’) - 엔터미디어
- 연인과 신하는 물론 시청자도 조정석의 떨리는 목소리에 매혹된 건(‘세작’) - 엔터미디어
- 이세영·안은진에 이어 이하늬가 다시 꽃피운 사극 명가 MBC(‘밤에 피는 꽃’) - 엔터미디어
- 오승아의 두 번째 결혼에 실망한 까닭(‘세 번째 결혼’) - 엔터미디어
- ‘미국 국적’ 박준형과 제시, 무례함은 그렇다 치고 한글공부는 어쩔 셈인가 - 엔터미디어
- 김민과 금해나, 어떻게 ‘킬러들의 쇼핑몰’의 미친 존재감이 되었나 - 엔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