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이코노미] 韓 환율 상승폭 남아공 2배…정치 불안 '첩첩산중'

조회 3712024. 12. 22.
20일 15시 30분 국민은행 여의도 딜링룸 /사진=KB국민은행

대표적인 경제 취약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화폐(랜드화/ZAR)보다 한국의 원화 가치가 지난 4주간 더 큰 폭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금리 인하와 경제 호조로 강달러(달러화 강세)가 지속하던 중 12월 초 비상계엄 이슈가 원/달러 환율 상승에 기름을 붙인 형국이다.

22일 <블로터>가 경제 취약국의 달러화 대비 환율 변동 폭(11월 29일~12월 20일)을 취재한 결과 대부분 1%대 상승세를 보인 반면, 원/달러 환율은 4%에 육박하는 상승 폭을 보였다.

환율은 외국인 자금 유출과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거시 경제 지표다. 환율은 미국 경제와 다른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결정되며, 글로벌 자금의 유출입을 유발한다. 가령 A 국가의 정치경제 위기와 미국 경제 호황이 맞물리면 A 국에 투자돼있던 글로벌 자금은 미국으로 몰리게 된다. 이때 A 국의 달러가 부족해지면서 환율은 상승, '달러 가치는 상승‧자국 화폐 가치는 하락'했다고 해석한다.

11월 말부터 12월 20일까지 주요 취약국 튀르키예 환율(달러화 대비)은 1.1% 상승 △남아프리카공화국 1.8% 상승 △칠레는 1.9% 상승한 반면 △콜롬비아는 1.2% 하락했다. 이 기간 잠재적인 취약국으로 분류되는 △멕시코 환율은 0.3% 상승 △인도 0.3% 상승했고 브라질과 인도네시아 환율은 각각 2.8%, 2.8% 하락했다.

/그래픽=최주연 기자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3.8%나 상승했다. 11월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1396.50원에 마감했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 20일 1449.50원에 마감했다. 이 상승 폭은 남아공의 두 배다. 현재 남아공은 사회적 불평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며 정치적인 불안을 겪고 있다. 이뿐 아니라 에너지 위기에 정전과 블랙아웃 우려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우려로 투자자의 불안감이 증폭한 최악의 상황에 봉착한 국가다. 이런 남아공 랜드화보다 한국의 원화가 더 불안하게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세계 공통적인 강달러 상황과 한국의 특수한 '정치 위기'가 복합돼 경제적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우선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을 시사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다. 지난 20일 새벽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더 강해지거나 경제와 고용시장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추가 금리 인하를 고려할 때 신중할 수 있다"면서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4번→2번'으로 조절하겠다고 언급했고 이날 환율은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450원대를 찍었다.

미국 경제 호황 전망도 원화 가치를 하락하게 하는 요인이다. 김영빈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주요 투자자들은 현금 비중을 지난달 4.3%에서 3.9%로 줄여가며 미국 주식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기업 이익 증대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2월 3일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은 한국 경제를 곤두박질치게 했다.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기간 외국인 자금은 3조원 넘게 순유출됐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상 '투자자별 거래 실적'(11월29일~12월20일)을 보면 3조3634억원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이 기간 개인도 8000억원 규모로 매도한 반면 연기금 등 기관들이 조단위 '팔자'를 모두 받아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의 자금 유출 규모는 아시아 주요국과 비교해도 가장 컸다. 국제금융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주 누적 추이를 볼 때 한국은 24억달러(약 3조4788억원) 유출 △대만 10억달러 △인도네시아 6억달러 △필리핀 2억달러 △태국 4억달러 △베트남 1억달러 △말레이시아 11억달러 순유출됐다. 인도의 경우 오히려 △34억달러 순유입했다.

최주연 기자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