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급식 통합플랫폼..지역 농산물 소비 확대 청신호? [정책 바로보기]

2022. 9. 21. 11: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학교나 어린이집, 병원 등 공공기관들이 급식 재료 등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공공급식 통합플랫폼'이 본격적으로 운영됩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식재료의 안정적인 수급과 안전성 확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사회복지과 박순홍 사무관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박순홍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사회복지과 사무관)

최대환 앵커>

공공급식의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주목되는 '공공급식 통합플랫폼'이 이번에 공식 운영에 들어갔는데요.

우선, 공공급식 통합플랫폼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일각에서 학교급식 중심으로 지역농산물 공급이 이루어져, 공공급식 분야 전반으로의 소비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는데요.

이번 플랫폼 운영을 통해 지역농산물 소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겠죠?

최대환 앵커>

끝으로, 플랫폼 사용을 희망하는 경우 어떻게 이용이 가능한지 방법과 향후 운영 계획, 어떻게 되나요?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공공급식 통합플랫폼'과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 박순홍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