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로 보는,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10개의 인테리어 소품
누구나 집에 몇 개 정도는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소품을 두기 마련이다. 인테리어용 아이템으로 활용하면서도 행운의 아이템으로, 일종의 토템 같은 역할을 하는 소품들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소품들의 효능을 열광적으로 믿는 이들도 많지만, 미신을 믿지 않으면서도 그저 기분이 좋아지기 위해 이러한 아이템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좋은 기운을 불러오는 것으로 알려진 인테리어 소품을 모아서 살펴보고자 한다.
복조리
복조리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서 엮어 만드는 소품으로, 원래는 쌀을 이는 기구다. 쌀을 일어올리듯이 복이 붙으라는 뜻에서, 알록달록하게 장식하기 좋도록 작고 예쁘게 만든 것이 바로 복조리다. 대나무를 엮은 틈새가 눈이 많은 것으로 여겨져, 광명을 통해 삿된 것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인다는 상징성도 담고 있다. 복조리는 설날 이른 아침, 섣달그믐날 밤 자정이 지나서 벽에 걸어둔다.
황금색 물건
황금색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부와 행운을 상징하는 색으로 통용된다. 특히 중국에서 황금색은 빨간색과 함께 길한 색으로 다양한 아이템에 널리 활용된다. 중국의 풍수에서는 황금색 소품이 에너지 흐름을 원활히 하고 재물을 끌어들인다고 믿는다. 황금돼지 저금통, 금빛 장식품은 대부분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다.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황금색은 부를 연상시키는 색상으로 널리 활용된다.
붉은색 소품
황금색이 부와 행운을 상징한다면, 붉은색은 악운을 물리치는 색으로 여겨진다. 고대 중국에서는 붉은색이 악귀를 쫓는 힘을 가진다고 믿어, 집의 대문을 붉은색으로 칠하거나 붉은 종이를 붙이기도 한다. 빨간색으로 만든 지갑도 널리 쓰이는데, 빨간색 액세서리는 재물운과 활력을 가져다주는 소품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에서 빨간색은 한때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졌으나,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한국인들을 결속시킨 색으로 인식이 바뀌었다.
복을 상징하는 식물
집에서 키울 수 있는 식물 중에는 재물과 복을 부르는 것으로 알려진 것들이 많다. 행운목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에, 서양에서는 행운을 상징하는 식물로 유명하다. 동양에서는 대나무가 대표적이다. 대나무는 성장과 인내를 상징한다. 붉은 열매가 열리는 관엽식물들은 예로부터 해를 닮은 색상으로, 에너지의 근원이자 재물운을 부르는 식물로 취급됐다. 천냥금, 만냥금, 남천 등을 들 수 있다.
거북이 장식품
풍수에 관련된 소품 중에서 거북이의 형상을 한 것들은 예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 거북이는 풍수지리에서 현무라고 부르는 사신 중의 하나로, 운, 건강, 장수를 상징한다. 현무는 북쪽에 해당하므로 거북이 모양의 장식품은 일반적으로 북향 또는 집 뒤편에 두는 것을 권장한다. 현무가 아닌 거북이는 풍수지리에서 행운과 안정, 그리고 보호를 상징한다. 느릿느릿하지만 천천히 자신의 길을 걷기에, 천지를 끄는 힘이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부엉이 모형
예부터 부엉이는 지혜와 번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다. 가정에 둔 부엉이 모형은 재물을 부르고 나쁜 기운을 막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부엉이 모형은 거실이나 현관에 두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금속으로 된 부엉이 장식이 인테리어 소품으로 인기를 받는다. 재물운에 있어서 부엉이 모형은 지혜로운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재정 관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소품으로 알려져 있다.
물고기 모형
물고기 또한 재물과 밀접하게 연관된 존재로 여겨진다. 그렇기에 재물운을 높일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물고기 모형을 이야기하는 이들이 많다. 물고기는 번영과 재물을 상징하기에, 집에 어항을 두거나 물고기 모양의 장식을 놓으면 재물운을 끌어들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물고기가 재물운을 상징하는 이유는 이들이 끊임없이 움직이기에, 지속적으로 재물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복을 부르는 그림
지혜와 보호를 상징하는 부엉이, 번창과 끊임없는 재물 흐름을 상징하는 물고기, 그리고 건강과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이를 그린 그림도 많은 이들이 활용하는 소품이다. 이 동물들을 그린 그림을 집 안에 걸어두면 한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여겨졌다. 위에서 이야기한 동물 외에 ‘포도’를 그린 그림도 많은 선택을 받는다. 알이 풍성하게 맺힌 포도는 우리나라에서 다산과 풍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거울
가정의 거울을 미신의 의미를 담아 두는 이들은 아마 많지 않을 것이다. 풍수에서 거울은 가정의 좋은 기운을 증폭시키고 나쁜 기운을 반사시키는 소품으로 여겨진다. 집에 큰 거울을 비치하면 재물이 들어오는 문을 향한 기운을 증폭시킬 수 있어, 재물운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전해진다. 현관 근처나 거실에 큰 거울을 두면 집 안의 재물운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풍수지리의 이야기다.
수정구슬
수정구슬 또한 풍수지리에서 길한 기운을 부를 수 있는 대표적인 소품으로 이야기된다. 수정이 ‘성스러운 영혼을 닦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수정구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이를 둔 장소에는 좋은 기운이 깃드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수정을 ‘물의 정령’이라 칭하며, 백수정은 불교의 일곱 보물 중 하나로 꼽힌다. 재물운을 높일 수 있는 아이템으로는 황수정이 꼽힌다.
저작권자 ⓒ 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