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과 설탕 없이 맛있게’ 한식만의 독특한 건강성[권대영의 K푸드 인문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불과 50년 전 서양문화가 들어오고 패스트푸드가 우리나라에 알려질 때만 해도 몇몇 미래학자들은 한식은 21세기에는 없어질 음식으로 예언했다.
그 이유로는 맛과 영양이 그리 뛰어나지도 않은데, 요리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들고 설거지하는 데도 품이 많이 들어 기계화되고 자동화되는 미래에는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기름과 설탕을 쓰지 않으면 맛을 내지 못하는 음식은 진정한 K푸드라고 말할 수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식의 뿌리와 본질을 이야기하지 않는 정의 논란은 아무 의미가 없다. 지리-음식학 차원에서 이야기하면 한식은 한반도와 같은 독특한 지리적 특성과 요하 문명과 우랄알타이어족으로 대표되는 우리 민족의 뿌리에서 나온 것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기름과 설탕을 쓰지 않고 빵이 아닌 밥을 어떻게 맛있게 먹을 수 있느냐’에 대한 조상들의 지혜가 쌓여서 나온 세계적으로 독특한 음식이다. 중국처럼 기름이 많은 나라는 요리 온도를 300∼400도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향이 나고 맛있는 튀김이나 볶음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요리하면 쉽게 상하지도 않는다.
이에 반해 물은 아무리 온도를 올려도 100도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 음식도 쉽게 상한다. 그래서 맛을 내기 위해 우리만 갖고 있는 양념 문화가 탄생한 것이다. ‘중국은 불맛, 우리 맛은 손맛이다’라는 말은 그래서 탄생했다. 설탕은 1960년대 이전에는 없었다. 설탕으로 맛을 내는 것은 매우 쉽다. 어떤 음식에 넣어도 맛이 없을 수 없다. 우리 조상들은 기름과 설탕 없이 맛을 내려고 힘든 세월을 보냈다. 한식은 오랜 세월 동안 이러한 조상들의 지혜가 쌓이고 묻어난 결과다.
이것이 K푸드의 분별 기준점이다. 과학적으로 보면 설탕과 기름을 쓰지 않고 맛을 낸 음식이니까 건강한 음식이다. 요즘 유행하는 매운맛은 K푸드의 대표 맛이 아니다. 우리나라에 50만 년 전 분화된 우리 고추는 그렇게 맵지 않았다. 우리 고추보다 훨씬 매운 수입 고추로 낸 맛은 우리 맛이 아니다. 기름과 설탕을 쓰지 않으면 맛을 내지 못하는 음식은 진정한 K푸드라고 말할 수 없다.
권대영 한식 인문학자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지율 동반 하락 속 尹-韓 24일 만찬…의대정원-김여사 문제로 긴장 고조
- [사설]美 4년 반 만의 금리 인하… 마냥 반길 수 없는 ‘부채 공화국’
- 巨野, 與 불참속 ‘쌍특검법’ 단독처리…尹, 거부권 방침
- [단독]진종오 “축구협회 조직적 은폐 시작”…축협, 감독 후보군 등 자료 요청 불응
- [사설]“기술 인재 대학 안 가도 존중받도록”… 정부가 앞장설 일인데
- 임종석 “두 국가 수용” 주장에…與 “김정은에 발맞춰 헌법 유린”
- ‘코리아 게이트’ 주역 박동선 씨 별세…향년 89세
- [김형석 칼럼]진실과 자유의 가치를 모르는 정치인들
- [오늘과 내일/신광영]위원들 로또처럼 뽑으니 믿어달라는 檢수사심의위
- “천석꾼 가세 기울었어도, 독립운동 아버지 원망은 이제 안 해요”[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