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치료될까” 韓美 연구진…‘착시·환각’ 부르는 이유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현병 등 정신질환 환자는 청각이나 시각과 같은 감각 정보를 왜곡해서 인식한다.
김주현 박사는 "이번 연구는 '방향'과 같은 시각정보와 '위치'와 같은 공간 인식 정보를 흥분성 뇌세포와 억제성 뇌세포가 어떻게 서로 다르게 처리하는 지 그 작용 원리를 밝혀낸 것"이라며 "우리 뇌가 방향-위치 선택성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함으로써 뇌의 감각 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는 물론, 새로운 AI 네트워크 구조와 학습 알고리즘 설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와 작용 기전 규명
-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2일호 발표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조현병 등 정신질환 환자는 청각이나 시각과 같은 감각 정보를 왜곡해서 인식한다. 일반인도 때때로 착시, 환각 등의 증상을 겪는다. 이런 현상의 비밀을 풀어줄 수 있는 신경세포의 기본 원리를 한미 공동연구진이 찾아냈다.
한국뇌연구원과 존스홉킨스의대 국제공동연구팀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마다 방향-위치 특이성이 다른 이유를 밝혀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처’ 10월 2일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팀에는 존스홉킨스의대 홍인기 박사, 리차드 후가니어 교수와 한국뇌연구원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 김주현 선임연구원 등이 참가했다.
뇌의 신경세포가 특정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속성 선택성(Feature selectivity)’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신경세포가 ‘우리 할아버지의 콧수염’같은 특정 자극에만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으로, 대뇌 피질이 감각 정보를 인식할 때 뇌세포 종류에 따라 정보처리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주목한 대뇌 시각피질의 흥분성 세포는 ‘특정 방향의 모서리(oriented edge)’에 선택적인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흥분성 뇌세포에 고유하게 나타나는 방향 선택성이라는 성질 때문이다. 반면 대뇌피질에서 가장 많은 억제성 뇌세포인 PV 뇌세포의 경우 방향 선택성이 현저히 낮게 나타난다.
뇌의 해마에서도 흥분성 뇌세포는 특정 위치에서만 반응이 증가하는 위치 선택성이 나타나는 반면, PV 억제성 뇌세포는 이러한 성질이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억제성 뇌세포가 흥분성 뇌세포에 비해 방향-위치 선택성이 낮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아 현재까지 중요한 난제로 남아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오랜 연구 결과 뇌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인 AMPA 수용체가 신경세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위치 선택성과 관련된 학습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수용체를 구성하는 요소 중 칼슘 선택성을 결정짓는 GRIA2가 속성 선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먼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쥐, 원숭이, 인간에서 공통적으로 PV 억제성 뇌세포가 흥분성 뇌세포에 비해 칼슘 투과성이 높은 AMPA 수용체(CP-AMPAR)를 많이 가졌다는 것을 확인했다.
유전적 기법을 통해 억제성 뇌세포에서 GRIA2 발현을 통해 칼슘 투과성을 낮췄더니, 흥분성 뇌세포처럼 방향 선택성이 높아졌다. 반대로, 흥분성 뇌세포에서 GRIA2를 없앴더니, 방향 선택성이 사라졌다.
특히 GRIA2 발현을 통해 CP-AMPA 수용체를 감소시킨 억제성 뇌세포의 전기신호를 측정해보니, 시냅스 가소성이 변화하고, 세포 자체의 흥분성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담당하는 해마에서 억제성 뇌세포의 CP-AMPA 수용체를 감소시켰더니, 흥분성 뇌세포처럼 위치 선택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주현 박사는 “이번 연구는 ‘방향’과 같은 시각정보와 ‘위치’와 같은 공간 인식 정보를 흥분성 뇌세포와 억제성 뇌세포가 어떻게 서로 다르게 처리하는 지 그 작용 원리를 밝혀낸 것”이라며 “우리 뇌가 방향-위치 선택성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함으로써 뇌의 감각 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는 물론, 새로운 AI 네트워크 구조와 학습 알고리즘 설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걱정은 안하나" 박지윤-최동석 '상간 소송'에 여론 싸늘
- 김경진 "부동산 4채 보유…모델 아내에게 선물로 집 사줘"
- 송중기도 ‘울컥’…故이선균에 공로상 바친 부산국제영화제
- 블랙핑크 로제, 솔로 컴백…전곡 작사·작곡, 정체성 담았다
- “쿠팡맨으로 한달 월수입 1000만원, 가수할 때보다 행복했다”…그룹 ‘태사자’ 출신 김형준,
- "비현실적 예뻐"칭찬에…한가인 "이거 작전?"
- ‘백종원 감탄’ 그 소스 때문에?…‘흑백요리사’ 선경 롱게스트, 악플 8000개 곤욕
- "여고생 살해 후 웃은 박대성…왜 웃었냐면" 이수정의 분석은
- 개그맨 오정태 14억에 산 목동집, 6년 만에 27억 ‘껑충’
- 김희선, 콘텐츠 디렉터 변신...美에 한국 현대미술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