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학교 급식 식중독 퍼진지가 언제인데 이제야 점검 나서나…‘뒷북 행정’ 비판
전북특별자치도가 남원지역 내 학교 급식에서 식중독 의심 환자가 발생한 지 20일 만에 점검에 나서 ‘뒷북 행정’, ‘늑장 대응’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식중독 의심 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하고 일부 학생이 입원 치료까지 받았음에도 신속한 확산 방지 및 예방 점검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역 내 불안감이 확산, 학부모와 지역 주민들이 행정의 늑장 대응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21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일, 남원 지역의 한 학교에서 처음으로 식중독 의심 환자가 발생했다.
이후 해당 학교는 즉각적으로 조사를 시작했지만 식중독 증상은 인근 학교로 빠르게 확산됐다.
10일에 남원 지역 24개 학교에서 총 1,032명의 학생이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였으며, 이 중 20명의 학생은 입원 치료를 받았다.
다행히 현재는 모든 학생이 퇴원했으나, 당시의 혼란과 불안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전북자치도는 이제서야 22일부터 9월 9일까지 ‘집중관리업소 식중독 예방 특별 자체 점검’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남원 지역에서 식중독이 발생한 지 약 20일이 지난 시점이다.
전북자치도는 남원 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태에 대한 현지 역학조사와 이후 점검반 구성 및 점검 서류 결제 절차를 거치느라 도 전체 점검이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이러한 행정 절차가 과도하게 지연되면서 실질적인 대응이 늦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식중독이 대규모로 발생한 후에 뒤늦게 점검을 실시하는 것을 두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미 학부모들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전북자치도의 대응이 너무 늦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북자치도의 대응이 늦어지면서 다른 지역의 학교들도 급식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철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기에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이에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이번 점검을 통해 학교 급식소와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한 철저한 위생 관리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앞으로는 더 신속하고 철저한 대응을 통해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집중관리업소 식중독 예방 특별 자체 점검 계획’은 학교급식지원센터에 납품하는 식재료 공급업체 165개소, 위생취약시설(사회복지시설, 무료급식소 등) 493개소, 학교·유치원 급식시설 317개소 등 총 975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식재료 및 조리식품 보관 기준 준수 △식재료 운송 차량 온도 기준(냉장·냉동) 준수 여부 △소비(유통)기한이 지났거나 부패·변질되기 쉬운 식품 사용·보관 여부 △조리장 내 위생·청결 관리 준수 △지하수 살균소독기(자동 염소 투입기) 정상 작동 관리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장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