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교과서 도입 코앞… 충청권 지원기관 예산·운영 방식 ‘제각각’

AI 디지털교과서(CG)[연합뉴스TV 제공]

AI 디지털교과서가 도입을 앞두고 학교 네트워크 및 무선망 관리를 담당할 테크센터 운영 방식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지역별로 예산, 규모, 운영방식이 제각각인데 디지털 교육 격차가 초래될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9월 설치된 테크센터는 지역별 학교의 디지털기기, 네트워크 등 인프라 장애에 대응하는 원스톱 통합지원의 역할을 한다.

디지털·AI 기반 교수학습 시대에 학교 디지털 인프라 업무 경감을 위해 학교 현장에 테크매니저 등의 전문인력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교육부 특별교부금 10억원으로 각 지역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문제는 지역마다 예산 규모와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대전시교육청의 경우, 충청권에선 유일하게 특별교부금에 이어 자체예산 9억 8400만원까지 추가로 편성한 상태다.

반면 나머지 세종과 충남, 충북은 추가 예산 투입 없이 특별교부금만으로 내년도 테크센터 운영을 계획 중이다.

세종의 경우 특성상 규모가 작아 특별교부금만으로 운영 가능하다는 입장이며, 충남·북 역시 이미 유지 단계로 접어들어 예산이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충남·북은 절대적으로 학교 수가 많아 학교당 지원할 수 있는 비용이 대전이나 세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소요될 수밖에 없다.

서비스 수준에 있어 자체 예산이 편성된 대전과 규모가 작은 세종, 충남·북 사이 질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운영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대전은 총 3개 테크센터를 두고 각 센터 당 4~12명의 전문인력이 배치돼 네트워크 장애 대응과 점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충남은 테크센터 전문 인력에 상주 직원과 순회 센터 직원을, 세종은 권역별 테크매니저 1명씩 총 10명의 인력이 배치됐다.

단기적으로는 지역별 상황에 맞춘 최적안처럼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동일한 디지털 전환 목표를 두고 지역마다 결과물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AI 디지털교과서는 내년도 뿐 아니라 2026년,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기에 초기 운영부터 중장기적인 방향에서의 시스템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지역마다 운영 방식이 다를 경우 추후 모범 사례 공유나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충청권의 한 중등 교사는 “특별교부금만으로 모든 지역이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본다”며 “확장성과 통합성을 위해서라도 중앙 차원의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함께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의 긴밀한 협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Copyright © 충청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