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수록 손해”… ‘3배 폭증’ 배달 수수료에 폐업 내몰린 자영업자[길 잃은 배달앱 중재]

박은서 2024. 10. 29. 18: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 ‘가게배달’과 ‘배민배달’ 수익 차이

같은 음식 팔아도 수수료 3배 차

주문 중개만 해 주는 ‘가게배달’ 8.8%
44% 올린 ‘배민배달’ 땐 26.8%로 쑥
1년에 3200만원 더 내… 연소득 수준
매출의 약 30% 차지 “가게 접을 판”
‘울며 겨자 먹기’ 내몰린 점주들

앱 상위 노출 ‘밀어주기’로 가입 유도
“수익 보전 위해 음식값 인상 불가피
배달 방법 따라 차등 설정 땐 불이익”
정부 중재 상생협의체는 ‘빈손’ 우려

“배달의민족(배민) 정액제 상품(가게 배달)에 가입한 점주 가게는 배달앱 노출이 거의 되지 않아요. 그래도 정률제 상품(배민 배달)에 가입하지 않는 건 이걸 하면 장사를 해도 손해를 보기 때문입니다.” 경기 양주에서 4년째 분식집을 하는 김영명(36)씨는 주문이 많은 배민 배달 대신 가게 배달과 매장 영업만으로 가게를 꾸리고 있다. 배민이 점주를 상대로 파는 배달 상품은 배민 배달과 가게 배달로 나뉘는데, 배민 배달은 배민이 소속 배달기사를 활용해 주문 중개는 물론 음식 배달까지 해 주는 반면 가게 배달은 배민이 주문 중개만 해 주고 배달은 점주가 책임지는 방식이다.

29일 서울신문이 국내 최대 배달앱인 배민을 통한 김씨의 지난해 매출을 토대로 가게 배달과 배민 배달의 수수료율을 계산해 본 결과 각각 음식값의 8.79%와 26.8%로 나타났다. 예컨대 김씨가 2만 5000원어치 음식을 가게 배달로 팔았을 때 배민에 낸 수수료가 2198원이었다면, 배민 배달로 같은 가격의 음식을 팔았을 때 내야 할 수수료는 3배가량 높은 6710원이었다. 배민 배달 수수료는 음식 배달 1건당 붙는 9.8%가 전부가 아니다. 여기에 2900원의 배달비를 점주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부가세도 별도다. 배민 배달로 팔면 음식값의 30%를 배민에 줘야 하는 구조인 셈이다.

●영업일 늘려도 오히려 수익성 악화

그렇다고 배민의 월정액(울트라콜 월 8만 8000원) 상품인 가게 배달만 고집하기도 어렵다. 배민의 배민 배달 밀어주기 행태 때문이다. 배민은 지난해 8월 앱 화면 내 배민 배달 영역은 더 크게, 가게 배달은 작게 바꿨다. 주문이 배민 배달로 몰릴 수밖에 없는 구조로 앱을 개편한 것이다. 이후 점주들의 불만이 거세지자 화면을 일부 바꾸기는 했지만 배민 배달이 가장 먼저 뜨는 건 여전하다.

인천의 한 피자집은 전체 주문 중 가게 배달과 배민 배달 비중이 지난해 말 72% 대 28%였지만 지난 2분기(4~6월)에는 38% 대 62%로 역전됐다.

가게 배달의 노출이 줄자 김씨는 수익 보전을 위해 올해부터 주 5일이던 영업일을 6일로 늘렸다. 하지만 매출과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고 있다.

“주문 1건으로 보면 가게 배달과 배민 배달의 수수료는 몇천원 차이지만 1년치로 합산해 보면 3200만원으로 벌어져요. 자영업자 연소득과 맞먹는 금액을 배민이 더 가져가니 ‘장사를 해도 남는 게 없구나’라고 생각하고 문을 닫는 점주들도 생겨나는 거죠.”

●업계 무료 배달 경쟁 속 수수료로 배불려

점주들은 올해부터 배민과 쿠팡이츠가 소비자에 대한 무료 배달 경쟁까지 펼치면서 수익성이 더 악화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배달앱들이 무료 배달 마케팅에 나선 것은 코로나19 이후 급증했던 배달 장사의 증가세가 코로나19 해제 이후 주춤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17조원대였던 배달앱 거래액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주문 수요가 늘어나면서 2022년 26조 5854억원으로 10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2023년 들어 코로나19 거리 두기가 완전 해제되면서 거래액이 26조 4011억원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배달앱들은 올해 초부터 소비자에 대한 무료 배달을 내세우는 마케팅에 나섰는데 문제는 점주로부터 받는 수수료를 높이는 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배민이 점주들로부터 받는 수수료는 폭풍 인상됐다. 당초 월 8만 8000원의 월정액 방식에서 2021년 배달 1건당 1000원으로 바뀌더니 이듬해인 2022년 1월부터는 아예 음식값의 6.8% 수수료를 받는 정률제로 개편됐다. 정률제 방식은 소액 주문에서는 업주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건수와 금액이 커질수록 배민에 이득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8월에는 수수료를 9.8%로 직전보다 무려 44%나 폭풍 인상했다.

무료 배달 경쟁 이후 매출은 다시 신장세다. 올해 1~8월 배달앱 거래액은 18조 9298억원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17조 4887억원)보다 8.2% 늘었다.

일부 점주들은 해결책으로 수수료 9.8%를 받는 배민의 배민 배달과 쿠팡이츠에서는 더 비싸게 음식을 팔고 있다. 서울 은평구에서 야식집을 운영하는 김준형(34)씨는 닭발 세트 가격을 가게 배달에선 2만 3000원, 배민 배달과 쿠팡이츠에선 2만 5000원으로 차등 설정했다. 이렇게 팔아야만 손해를 보지 않는다.

그러나 쿠팡이츠로부터 배민 가게 배달의 설정 가격과 똑같이 맞추지 않으면 쿠팡 와우 회원에게 무료 배달 혜택을 주는 가게에서 제외하겠다는 협박성 연락을 받았다. 이른바 ‘최혜 대우’ 요구다. 김씨는 “가게 배달은 수수료가 낮으니 음식 가격도 낮춘 것인데, 쿠팡이 가격까지 간섭하는 건 불공정 행위”라고 성토했다.

배달 수수료 논란이 커지면서 정부는 지난 7월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를 꾸렸지만 8차례 회의에도 배민과 쿠팡이츠는 상생안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30일 마지막 회의만을 앞두고 있는데 빈손으로 종료될 우려가 높다.

박은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