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3%대 돌파...소액 급전도 못 갚는 취약계층 '빚 악순환' 우려

카드론·현금서비스 44.7조로 역대 최고...취약계층 '빚 악순환' 우려

고금리·고물가로 서민 경제가 어려워진 가운데 1금융권과 저축은행 등의 대출 문턱까지 높이자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취약계층의 '급전 통로'인 카드 대출 규모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감원이 통계를 추산한 지난 2003년 이후 최고치다. 덩달아 카드대출 규모와 함께 연체율도 고공비행 중이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 카드대출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카드 대출 규모(전업카드사 8곳 기준)는 총 44조6650억원에 달했다.

건수로는 1170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장기 카드대출인 카드론 규모가 38조7880억원(648만2000건), 단기 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가 5조8760억원(522만7000건)이었다.

이는 돈줄이 막힌 취약계층이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와 같은 소액 급전에 의존한다는 의미다.

카드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채권)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1.9%, 2022년 말 2.2%, 작년 말 2.4%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 8월 말에는 3.1%로 올랐다.

카드대출 연체 금액은 2021년 7180억원(20만건), 2022년 8600억원(24만9천건), 2023년 9830억원(26만5천건)에서 올해 8월 말 1조3720억원(31만2천건)으로 급증했다.

카드대출현황. / 강민국 국회의원실

이같은 연체금액은 지난 2003년 6조600억원과 2004년 1조9880억원 등 카드 사태 기간을 제외하고서는 가장 큰 규모다.

때문에 업계에는 중저신용자,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한계에 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드 대출 연체자들이 다중채무자일 확률이 큰 만큼 부실이 금융권 전반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

금융권 대출을 최대한 당겨 쓴 만큼 불법 사금융에까지 손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 당국이 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카드사들의 카드 대출 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서민 자금공급자 역할을 지속 수행하도록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강민국 국회의원 -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