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 목표치 달성 '적신호'
올해 1~8월 누적 수주액 179억5673만 달러
수주 목표치 현재 절반도 안 돼
국내 건설사 중동 수주 압도적, 국제유가 '변수'
[더팩트|이중삼 기자]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치인 400억 달러 달성에 '적신호'가 켜진 모양새다. 정부가 세운 목표와 달리 현재까지 해외건설 수주 실적이 부진해서다. 통상 해외수주 물량이 연말에 몰려있다는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목표 달성에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해외건설협회의 '해외건설 월간 수주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8월까지 누적 해외건설 수주실적은 179억5673만 달러(한화 약 23조8770만원)로 전년 같은 기간(219억3242만 달러) 대비 18.1% 줄었다. 국토교통부가 세웠던 올해 연말 목표치 400억 달러에 절반도 안 된다. 최근 5년간 평균치(175억9000만 달러)는 웃돌았다.
동월 연도별(2019년~2024년)로 살펴보면 136억9000만 달러(2019년)→178억4000만 달러(2020년)→162억1000만 달러(2021년)→183억 달러(2022년)→219억3000만 달러(2023년)→179억5673만 달러(2024년)다. 중동을 제외한 태평양·북미 등 모든 지역 해외수주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중동은 지난해 74억973만 달러에서 올해 108억9742만 달러로 늘었다. 반면 태평양·북미는 73억4118만 달러에서 26억2804만 달러, 아시아는 42억9681만 달러에서 28억3472만 달러를 기록해 각각 전년 동월 대비 64.2%, 34.0% 급감했다. 중남미·유럽·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수주가 줄었다. 때문에 정부가 목표한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에도 먹구름이 짙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해외건설 수주 목표치에 난항이 예상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 건설사의 수주 텃밭인 중동의 상황이 심상치 않아서다. 특히 국제유가가 내년까지 하락세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궁극적으로 중동에서의 발주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국제유가 하락이 지속되면 중동 국가들이 재정난을 겪게 돼 사업발주 지연 등 개발사업 속도 조절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중동 수주 가뭄에 빠지면 국내 건설사 실적도 크게 쪼그라드는 등 업계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 비중은 중동이 압도적이다. 중동(60.7%), 아시아(15.8%), 북미·태평양(14.6%) 순이다.
◆ 실효성 높이는 정책 등 정부 역할 절실
해외건설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속에 국토연구원이 최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네 가지 개선사항을 제안했다. 국토연구원은 '해외건설의 성과와 지원정책 평가: 해외건설 1조 달러 시대를 위한 시사점' 자료를 통해 국가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 접근, 투트랙 지원전략 수립·이행, 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추진체계 고도화 등을 제시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지난 반세기 해외건설 지원정책은 해당 시기의 현안 대응을 중심으로 이뤄져 정책의 실효성이 낮았다"며 "해외건설 산업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서는 1조 달러 시대에 대한 대비를 넘어 2조 달러 시대를 전망·선도하는 중·장기적 계획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정부는 시장·공종 다변화를 위해 투자개발사업, 디지털 전환 등을 강조하며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동반 진출에 대한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견해 차이를 감안한 투트랙 전략을 수립·이행해야 한다"며 "특히 공종별 기술개발·적용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기업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별해 해외에서 실증해 확산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원제도를 체계화·단순화하고 기관 간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등 절차상의 소요시간과 비용을 줄여 접근성을 올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VIP 리포트'에서는 해외건설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오는 2027년 세계 4대 건설 강국 목표 달성을 위한 성장 전력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현대경제연구원은 사업 참여자 간 조직적인 협력 체계·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국가별·공종별·발주유형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유망 시장진출을 위한 전략적 기반 마련, 사업개발, 금융조달·시공·운영관리 부문 지원, 디지털 신기술 접목·활용 역량 강화 등을 제언했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포착] "동네 선거하나, 부끄럽다"…김민석, '김건희 특검법' 표결 불참한 조국 저격
- [2024 TMA] 유니스, 팬들 사랑에 '애교 풀 발사~' (영상)
- [오늘의 날씨]'고마해라' 늦더위…전국 최대 200mm 이상 비
- 토요타·GM 협업 행보…정의선 회장, '글로벌 수소 동맹' 본격화
- 그해 여름은 정말 더웠네…'최악 폭염' 1994·2018·2024년
- 10·16 재보선 관전 포인트는…민주-혁신 '호남대전', 국힘 '텃밭 사수'
- [그래도 K리그] 대전 황선홍 vs 전북 김두현, 9월 상승가도 '정면 충돌'
- [내가 본 '켄타로'] 주변 분위기를 밝게 만들 줄 아는 배우
- 화사, 이제 '싸이 시너지' 보여줄 때[TF초점]
- [단독] 올리브영, 오프라인 월간지 만든다…이번에도 키워드는 '성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