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빈손 방한’ 뒤…포스코, 징용배상금 20억 추가 출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포스코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을 위해 설립한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20억원을 추가 출연했다.
포스코는 지난 13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피해자지원재단에 20억원을 출연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집행했다고 19일 밝혔다.
포스코 쪽은 "생존 피해자들이 날로 고령화됨에 따라 신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돼 추가 출연을 결정했다"며 "100억원을 모두 낸 뒤에도 고려하고 있었던 사안"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스코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을 위해 설립한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20억원을 추가 출연했다.
포스코는 지난 13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피해자지원재단에 20억원을 출연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집행했다고 19일 밝혔다. 포스코는 “대일 청구권 자금의 수혜를 통해 성장한 기업 중 하나로, 재단에 20억원을 출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포스코는 2012년에 모두 100억원을 재단에 출연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2016년에 30억원, 2017년 30억원을 낸 데 이어 윤석열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와 관련해 ‘제3자 대위변제’ 해법을 발표한 뒤 2023년 40억원을 내며 출연을 완료했다.
‘제3자 변제’란 대법원의 확정판결에 따라 배상 책임을 진 일본 가해 전범기업의 ‘채무’를 가해 당사자인 전범기업의 인정 여부와 상관없이 ‘제3자’인 지원재단이 대신 갚는 것이다. 지원재단은 포스코 등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수혜 기업에서 기부금을 걷어 피해자에게 대신 배상하겠다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대법원의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이 1965년 한-일 기본조약 및 청구권 협정 위반이며 일본 기업 배상금 지급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해 한일 관계가 냉각됐다가, 지난해 3월 윤석열 정부가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지급하지 않는 ‘제3자 대위변제’안을 내놓으며 화해를 시도했다. 일본 기업의 직접 사과를 거부하는데 성공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6일 퇴임을 앞두고 한국을 찾아 윤석열 대통령을 만났고, 이후 포스코가 재단에 추가 출연금을 내놓은 것이다.
포스코 쪽은 “생존 피해자들이 날로 고령화됨에 따라 신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돼 추가 출연을 결정했다”며 “100억원을 모두 낸 뒤에도 고려하고 있었던 사안”이라고 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팀 체코리아’?…윤 대통령 “체코·코리아, 원전 르네상스 이루자”
- 국과수 “인천 전기차 화재, 외부충격 따른 배터리팩 손상·발화 개연성”
- “그만 나대라. 장기말 주제에 건방진 것들”…막나가는 의협 부회장
- 브라질서 차단된 X, 우회 접속 열었다가 ‘하루 12억’ 벌금
- 의대 교수들,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는 “시기상조”
- [영상] 머스크 말대로 배우 된 사격 김예지…“킬러 역할 떨려”
- 트럼프 재산 5조2천억원…해리스·밴스·월즈 합쳐도 200배 많아
- 폭염 요란하게 씻어간다…태풍 풀라산 주말 강풍, 폭우
- “윤 정권, 남은 임기 죽음처럼 길어”…원로 시국선언
-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지정에 뜨뜻미지근한 민심…왜?